여야 간 40일 넘게 진통을 겪던 국회 후반기 원 구성 협상 타결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대 쟁점이던 운영위원장은 민주당이, 법사위원장은 한국당이 맡는 것으로 잠정 합의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국회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이종원 기자! <br /> <br />자, 오늘 안에 원 구성 협상 타결이 이뤄질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어제저녁까지도 협상이 난항을 겪었지만, 오늘 아침부터 국회에선 긴박한 분위기가 감지됐습니다. <br /> <br />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와 한국당 김성태 원내대표가 비공개 회동을 연 데 이어, 원내대표들이 잇달아 공식 일정을 취소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이어, 4개 교섭단체 원내수석부대표와 원내대표 회동이 잇달아 잡혔습니다. <br /> <br />조금 전 10시 반부터 원내대표들이 한 테이블에 모여 협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아직 공식적인 발표는 없었지만, 일단 큰 틀에서는 합의가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최대 쟁점이었던 운영위와 법사위원장은 각각 여당인 민주당과 제1야당인 한국당이 맡는 것으로 잠정 합의가 이뤄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, 이른바 '입법 발목잡기' 예방을 위해, 법사위 제도 개선을 추진할 특별위원회나 테스크포스를 여야가 공동으로 구성하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기자들 카메라엔 원내수석부대표들이 회람한 '합의문 초안'이 포착되기도 했는데요. <br /> <br />초안에는 사실상 법사위의 법안 심사 권한을 축소하는 내용과 함께, <br /> <br />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를 나누는 방안 등이 기재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야당에선 이 초안이 효율적인 논의를 위해 민주당 측에서 작성한 것일 뿐, 합의가 이뤄진 내용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집권여당과 제1야당이 큰 틀에서 합의한다면 큰 산은 넘는 셈인데, 여전히 변수는 남아 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무엇보다, 법사위 제도 개선 문제가 관건입니다. <br /> <br />민주당은 세부 항목을 구분해 시행 시기를 못 박자는 입장이고, 한국당은 선언적인 표현만 넣자고 맞서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,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이 합의안에 동조할지가 미지수입니다. <br /> <br />윤소하 원내수석부대표는 오늘 회동 중 한때 자리를 박차고 나가면서, 거대 양당이 물밑접촉으로 협상을 끌고 나간다며, 앞으로 협치는 없다고 불만을 터트리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평화와 정의의 의원모임은 다른 3당의 암묵적인 합의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710114141228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