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태양광 활용해 친환경 화학물질 제조 / YTN

2018-07-10 6 Dailymotion

햇빛을 이용해 이산화탄소로부터 세척제 등에 필요한 화학물질을 생산하는 기술이 개발됐습니다. <br /> <br />온실가스에서 유용한 자원을 만드는 환경친화적 기술로 국제 학술지 표지 논문으로 실렸습니다. <br /> <br />이정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인공 광합성은 나뭇잎이 햇빛을 받아 이산화탄소로부터 포도당을 생산하는 것처럼 태양광을 활용해 화학물질을 만드는 시스템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시스템을 이용해 이산화탄소로부터 고무제품과 세척제, 연료전지 등에 필요한 화학물질인 포름산을 생산하는 기술이 개발됐습니다. <br /> <br />엽록소처럼 빛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전환하는 물질인 광촉매 분말을 필름 형태에서 3차원 구조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실용화에 한 발 더 다가섰습니다. <br /> <br />[백진욱 / 한국화학연구원 CO2에너지벡터연구센터장 : 식물의 광합성 원리를 그대로 이용해서 순수한 태양에너지만을 이용해서 먹고 입고 자고 하는 모든 물질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마법의 미래 기술이 되겠습니다.] <br /> <br />연구팀은 가시광선을 활용한 고효율 포름산 제조에 성공한 데 이어 광 흡수 물질을 포함한 3차원 구조 플라스틱 형태의 광촉매를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기존 2차원 필름 형태의 광촉매보다 태양광 전환 효율을 150% 정도 높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 기술은 햇빛을 이용해 이산화탄소 배출 없이 화학물질을 생산할 수 있는 원천기술로 평가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의약품 등 고부가 정밀 화학제품은 물론 웨어러블 태양전지 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도 응용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기술은 지구온난화와 에너지 자원고갈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. <br /> <br />[백진욱 / 한국화학연구원 CO2에너지벡터연구센터장 : 3차원 구조는 평면의 표면적이 굉장히 크기 때문에 표면적을 이용해서 좀 더 고효율로 태양광 에너지를 모으고 생산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이 되겠습니다.] <br /> <br />미래 태양광 공장 건설로 이어질 수 있는 이번 성과는 촉매 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'켐캣켐(ChemCatChem)' 전면 표지 논문으로 실렸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정우[ljwwow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80711042225901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