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민주당 김병기 의원이 자신의 아들이 국가정보원에 뽑히는 과정에 영향력을 미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. <br> <br>김 의원의 아들은 2년 전 경력공채로 채용됐는데, 공교롭게도 김 의원이 정보위원회 간사가 된 시점과 비슷합니다. <br> <br>이동재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국가정보원에서 30년간 근무하며 인사처장까지 지낸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의원. <br> <br>국회 정보위원회 간사로서 국정원 개혁을 주도하고 있는데, 아들 국정원 채용에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. <br> <br>김 의원의 아들은 2014년 국정원 채용과정에서 최종 단계인 신원조회에서 탈락했습니다.<br> <br>김 의원은 2년이 지난 2016년 국회의원이 됐고, 정보위 간사를 맡아 국정원의 채용 과정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제기했습니다. <br><br>특히 2014년 아들 탈락이 부당했음을 국정원에 여러차례 알렸고, 국정원은 불합격 처분 취소 여부를 검토까지 했다는 보도도 나왔습니다.<br> <br>김 의원의 아들은 국정원 응시 네 번 만인 2016년 10월, 경력직 공채로 합격했습니다. <br> <br>야당은 “아들 취직시키러 정보위에 들어갔냐”며 김 의원을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[신보라 / 자유한국당 원내대변인] <br>"국정원 출신의 국회의원이 벌인 일이라고는 믿기 어려울 만큼 충격적입니다." <br><br>하지만 김 의원은 채널A와의 통화에서 “기무사 장교 출신인 아들이 신원조회에서 탈락하는 게 말이 되느냐”며 “국정원 내 적폐세력의 음해”라고 반박했습니다. <br><br>야당과 김 의원 모두 진상규명을 요구하고 나선 가운데, 국정원은 "특혜 없이 공정한 절차를 거쳐 선발했다"고 해명했습니다 <br> <br>채널A뉴스 이동재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이승훈 <br>영상편집 : 김태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