금융위원회가 금융소비자 보호를 골자로 조직 개편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소비자 업무만을 전담하는 담당국이 세워진 건 이번이 처음이라 앞으로 달라질 금융소비자 정책에 눈길이 쏠립니다. <br /> <br />최민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금융위원회가 지난 2015년 이후 3년 만에 조직 개편을 단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소비자 보호와 서민금융 업무만을 담당하는 금융소비자국의 신설입니다. <br /> <br />그간 부서별로 흩어진 소비자 보호 업무를 총괄하게 됐는데, 이렇게 소비자 업무가 독립적인 담당국으로 신설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국 산하에는 가계금융과도 신설돼 가계대출과 부동산금융, 대부업 정책 등 가계와 관련된 업무를 모두 살피게 됩니다. <br /> <br />이 같은 조직 개편은 그동안 금융위의 행정이 은행·보험·투자업 등 금융업 중심으로 이뤄지면서, 잇따르는 금융이슈에 대한 정책 대응이 부족했다는 비판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치솟는 가계부채, 커지는 취약차주 리스크, 날로 교묘해지는 금융사의 불완전 판매가 경제 불안요인으로까지 번지자 금융당국도 틈만 나면 소비자 보호 문제를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밝혀왔습니다. <br /> <br />[최종구 / 금융위원장 (지난해 12월 기자간담회) : 서민금융지원체계 개편, 사회적 금융 활성화, 시장금리 상승 등에 따른 취약차주 보호강화 등 포용적 금융을 적극 추진해 나가겠습니다.] <br /> <br />이와 함께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기 위한 한시적으로 전담 조직도 신설했습니다. <br /> <br />기존 금융업의 부수적인 영역으로 여겨지던 핀테크 산업 진흥정책을 금융혁신기획단이 맡아 효율적으로 추진하고, 암화화폐에 대해서도 여기서 더 정교하게 정책 대응을 맡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기획단은 조직 시한이 만료되는 2020년 7월 이후에는 정식 조직으로 자리 잡을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YTN 최민기[choimk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0717191809916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