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BMW측은 국토부의 조사 결과를 인정하며 뒤늦게 리콜을 결정했는데요, <br> <br> 리콜 시기와 대상 차량 발표를 미루고 있어 차주들의 불안만 키우고 있습니다. <br> <br>계속해서 김지환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 이달 중순까지 만해도 화재 책임을 운전자에게 돌렸던 BMW코리아. 운전자가 불량 부품을 쓰거나 불법 개조를 해서 불이 났다는 겁니다. <br> <br>[화재 발생 BMW 차주] <br>"'사설에서 정비를 받아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' 이러는데 제 경우에는 한 번도 바깥에서 정비받은 적이 없어요." <br> <br>국토부는 새어나온 냉각수의 일부 화학 성분이 배기가스 순환장치에 고체 상태로 침전돼 불이 붙었다는 잠정 결론을 내렸습니다. <br> <br> BMW측도 지난주 국토부의 조사 결과에 동의하며 자발적 리콜을 결정했습니다. <br> <br> 하지만 리콜 시기와 대상에 대해선 여전히 입을 다물고 있어 차주들의 불안감은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[BMW코리아 관계자] <br>"리콜이 됐든 뭐가 됐든 조치를 취할 예정에 있습니다. 아직 결정된 건 없어요." <br> <br>문제가 된 부품을 사용한 차량이 10만대에 달해 준비작업이 필요하다는 겁니다. <br> <br>[국토교통부 관계자] <br>"(부품) 조달을 해야 하잖아요. 고장 난 것을 바꾸려면 그런 부분을 체크를 좀 해야 합니다." <br> <br> BMW 측은 2015년 차량 수십 대가 주행 중 불이 나자 리콜을 실시하면서도 연료 호스에 문제가 있다는 조사 결과를 끝까지 부인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지환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이희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