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름 넘게 폭염이 이어지면서 농작물 피해 역시 심각합니다. <br /> <br />당분간 폭염과 열대야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 수확기에 접어든 과수와 채소 등의 농작물 피해가 급증할 것으로 우려됩니다. <br /> <br />백종규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검은 차광막을 이중으로 설치했는데도 인삼 잎이 폭염에 타버렸습니다. <br /> <br />생육 적정 온도가 25~30도인데, 35도 이상까지 치솟으면서 버티지 못한 겁니다. <br /> <br />[김태엽 / 인삼 농장 주인 : 인삼 타는 모습 보고 제 속도 타고 있는데요. 과거에는 하늘만 보고 농사를 지어왔는데, 하늘만 보지 않고 어떻게 하면 피해를 덜 볼까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과수 농가에는 강한 햇볕에 과실이 타들어 가는 햇볕 데임 현상으로 비상이 걸렸습니다. <br /> <br />한낮에 과실 표면 온도가 50도를 넘어가는 사과 농가에서 특히 피해가 심각합니다. <br /> <br />사과의 경우에는 낮 최고 기온이 32도 이상 열흘 넘게 이어지면 이처럼 과실 표면이 누렇게 변하는 햇볕 데임 피해가 발생하게 됩니다. <br /> <br />과실이 많이 달리지 않게 하고 웃자란 가지와 잎을 적당히 남겨 과실이 직사광선에 노출되지 않게 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칼슘제를 뿌려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 <br /> <br />[정재훈 /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농업연구사 : 탄산칼슘 0.2% 액을 살포하면 과실 표면을 보호해서 햇볕 데임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. 또 칼슘이 표면에 쌓여 저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고추에 치명적인 탄저병이 발생한 가운데 많은 밭작물에 시들음병이 퍼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칼슘 부족으로 잎과 열매가 마르지 않게 하려면 물 관리가 제일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[차지은 / 농촌진흥청 농업 지도사 : 관정을 이용해 인공적으로 물을 대는 것이 가장 필요합니다. 또 짚이나 피복제를 뿌리 쪽에 덮어서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것도 필요합니다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물은 조금씩 자주 주는 게 좋고 스프링클러는 해가 진 이후에 가동하는 것이 작물 생육에 도움이 된다고 조언합니다. <br /> <br />YTN 백종규[jongkyu87@ytn.co.kr]입니다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80724190405967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