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라오스 보조댐 사고로 수몰된 마을 주민 3천여명은 여전히 고립된 채 구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한국을 비롯해 국제 사회의 구조 활동도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. <br> <br>라오스 비엔티안에서 최주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사고 나흘째가 지났지만 마을 상당 부분은 여전히 물에 잠겨 있습니다. <br> <br>지붕과 나무 위에서 고립된 채로 구조의 손길을 기다리는 이들은 아직 3천명이 넘는 것으로 파악됩니다. <br> <br>간신히 구조된 2천 8백여명은 이재민 임시 대피소에 머물며 배식으로 끼니를 때우고 있습니다. <br> <br>[이재민] <br>"제가 있는 여기는 안전합니다. 하지만 아직 마을에 남아있는 남편과 아들을 생각하면 걱정이 됩니다." <br><br>댐에서 쏟아져 내린 물은 국경 너머 캄보디아 북부에까지 흘러가, 지역 주민 5천여 명이 대피했다는 현지 보도도 나왔습니다. <br><br>라오스 당국이 지금까지 공식 집계한 사망·실종자는 150여명이지만, 물이 서서히 빠지면서 피해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.<br> <br>우리 정부는 긴급구호 선발대를 파견하는 등, 구호 활동에 착수했습니다. <br> <br>[강윤호 / 외교부 선발대장] <br>"굉장히 고립된 지역이고 피해 상황도 크다보니까 구체적인 집계에 대해선 라오스 측에서 발표하는 것을 저희도 긴밀히… " <br><br>시공사인 SK건설 측은 서울과 별도로 수도 비엔티안에 비상대책사무소를 꾸리는 등, 사고 수습에 총력전을 펴고 있습니다. <br> <br>비엔티안에서 채널A뉴스 최주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김찬우 <br>영상편집 손진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