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온열질환자 폭증...폭염 취약지수 첫 공개 / YTN

2018-07-31 2 Dailymotion

사상 최악의 폭염으로 올여름 온열 질환자가 지난해 환자 수를 훌쩍 넘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더구나 온열 질환자는 8월 초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 지역별로 폭염 대응 시설에 차이가 나는 만큼 맞춤형 대비책이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이승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올해 온열 질환자 수는 2천2백 명을 돌파하며 사상 최다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사망자도 28명으로 역대 최대치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아직 최악의 고비가 남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5년간 온열 질환자의 절반이 8월 초, 중순에 집중적으로 발생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환경부가 8월 기상 전망 자료를 토대로 지자체별로 폭염 대응 능력을 분석한 지수를 처음 공개했습니다. <br /> <br />폭염에 노출되는 인구와 소방서, 의료 기관 수 등을 고려한 결과, 전주시 완산구·덕진구, 익산시, 군산시 등에서 폭염 취약 지수가 높았던 반면, 화천군이 제일 낮았습니다. <br /> <br />더위에 약한 65세 인구 대상 폭염 취약 지수에선, 고창군, 김제시, 정읍시 등이 높았던 반면, 화천군이 제일 낮았습니다. <br /> <br />온도 조절 능력이 떨어지는 5세 미만 영유아 대상 폭염 취약 지수에선 전주시 덕진구, 군산시, 완주군, 전주시 완산구, 부산광역시 기장군 등이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, 괴산군은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됐습니다. <br /> <br />[신영수 / 환경부 신기후체제대응팀 사무관 : 폭염 취약성 지수를 토대로 취약계층 방문 건강진단과 응급구급체계 운영, 행동요령 전파 등 정책사업의 지역별 지원 우선순위 설정에 활용하면 폭염 대응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환경부는 올여름 기록적인 폭염은 기후변화 영향이 현실화된 것이라며 지자체별로 맞춤형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윤[risungyoo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80731180652301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