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윤호영 / 카카오뱅크 공동대표 <br /> <br /> <br />금융권의 판을 흔들 메기 역할로 등장한 인터넷 전문은행 카카오뱅크가 이제 출범한 지 1년이 지났습니다. <br /> <br />1년 만에 600만 명 넘는 고객을 확보할 정도로 자리매김했다 이런 평가를 받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하지만 여전히 산업자본의 은행 지분 소유에 제한을 두는 규제인 은산분리 원칙에 막혀 한계를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카카오뱅크 윤호영 공동대표 모시고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 <br />카카오뱅크 출범, 은행권의 혁신을 가져왔다, 이런 평가를 받고 있는데 사실 파격적인 내용들이 여럿 있었습니다. 어떤 내용들이 있었나요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지난 1년간 카카오뱅크는 모바일뱅크라는 새로운 영역을 확장했었습니다. <br /> <br />모바일뱅크라는 영역을 하면서 짧은 시간 내에 630만 명의 은행 계좌를 갖고 계신 분들이 생겼고 그 외에 기술 혁신도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카카오톡과 협업을 통해서 인공지능을 통한 고객 상담 챗봇이 발생이 됐었고요. <br /> <br />그래서 많은 고객들이 활용해 주시고 지금은 로봇을 통해서 카카오뱅크에 궁금한 점들을 확인하고 답변받을 수 있는 이런 부분들이 새롭게 만들어진 카카오뱅크의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. <br /> <br /> <br />저희가 앞서 말씀드렸지만 1년 만에 고객이 630만 명을 돌파했습니다. 이게 어느 정도 수준인가요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카카오뱅크가 출범하기 이전인 2016년 이전에는 은행 전체에서 모바일이나 PC를 통해서 비대면 계좌 개설을 했던 개수가 한 16만 5000억 건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그 이후에 카카오뱅크가 360만 명의 비대면계좌가 개설이 됐다는 것은 카카오뱅크 전후와는 큰 차이가 있다고 생각이 되어집니다. <br /> <br />이러한 카카오뱅크만의 어떤 특징을 통해서 벌써 여신 규모가 7조 원이 됐고 수신 규모는 8조 6000원 정도가 됐고 해외송금 분야도 벌써 21만 건으로 해외송금만 놓고 보면 시중은행 수준이라고 생각을 합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러면 어떤 분들이 가입을 했는지 좀 봤으면 좋겠는데 그 가입자들을 분석을 해 봤습니다. <br /> <br />저희가 그래픽을 만들었는데 좀 보면서 얘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 구성을 보면 20대가 30. 6%, 30대가 33.7%고요. 모바일에 익숙한 젊은 층이 주요 고객이 아닌가 이런 생각도 들거든요.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처음에는 출범 초기에는 아무래도 모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0801172042842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