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국군기무사령부가 계엄령 검토 문건을 만든 것이 작년에 처음이 아니라고 자유한국당이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지난해 뿐만 아니라 2004년 노무현 대통령이 탄핵 심판을 받을 때도 비슷한 문건을 만들었다는 겁니다. <br> <br>황수현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이석구 기무사령관이 오늘 오전 서류 봉투를 들고 김성태 한국당 원내대표실을 찾았습니다. <br> <br>김 원내대표는 지난 2004년 3월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소추 당시에도 기무사가 정부 전복 시도에 대응해 군사계획을 세웠다며 보고 내용을 공개했습니다. <br> <br>[김성태 / 자유한국당 원내대표] <br>"대정부 전복 대비 차원에서 기무사가 군사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한 다수의 문건이 존재한다는 점도 확인했습니다." <br><br>해당 문건에는 군 병력과 장비의 이동 상황, 대정부 전복 관련 첩보 활동 강화 등의 내용이 담겨있다고 밝혔습니다.<br><br>문건 겉표지에는 당시 송영근 기무사령관 자필로 '확실하게 지시된 대로 행동해야 한다“는 메모도 붙어있다고 말했습니다.<br> <br>계엄이라는 단어만 없을 뿐 2016년 촛불 정국 당시 작성된 계엄 문건과 다를 바 없다는 게 한국당 주장입니다. <br> <br>기무사는 노무현 전 대통령 때는 계엄령을 검토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고수했습니다. <br> <br>[이석구 / 기무사령관] <br>"이번 건과 같은 계엄령 문건을 검토한 사실은 없었습니다." <br><br>자유한국당은 기무사를 향해 해당 문건 전체를 제출하라고 요구했고 <br> <br>민주당은 한국당이 과도한 물타기로 사건의 본질을 흐리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황수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이승훈 박연수 <br>영상편집 : 배시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