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벼랑 끝에 몰린 자영업자들은 빚더미에 올라 앉았습니다. <br> <br>부채 규모만 550조 원에 달하는데요, <br> <br>금리가 오르면 자영업자들이 파산에 이를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옵니다. <br> <br> 계속해서 이현수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시작된 2010년대 초부터 자영업을 시작해 이곳 계산대에 앉는 고령자가 늘었습니다. <br> <br> 퇴직금만으론 모자란 창업비용은 대출로 메꿨습니다. <br> <br> 예상만큼 수익이 많지 않아 서서히 늘어나던 자영업자 대출액은 지난해 말 549조원을 돌파했습니다. <br> <br> 대출의 건전성을 따져봐도 좋지 않습니다. <br> <br> 80%가 넘는 463조 6000억 원이 사업자 대출에 더해 가계·신용대출을 추가로 받았거나,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·대부업체 빚까지 동시에 지고 있습니다.<br> <br> 자영업자의 상환 능력이 점점 늘어나는 빚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뜻입니다. <br><br> 실제, 지난해 자영업자의 부채는 소득의 190%에 달해 3년 새 26%포인트 넘게 늘었습니다.<br><br> 빚더미에 앉은 자영업자는 100만 원을 벌면 35만 원을 원금 상환과 이자로 떼내야 하는 형편입니다. <br> <br>[성태윤 /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] <br>"경기상황이 악화되는 가운데 원리금 상환부담이 늘면서 자영업자들의 생계나 사업상황이 어려워질 가능성은 커지고 있습니다." <br><br> 이제 금리 인상은 악성 채무에 시달리는 자영업자에게 폭탄과 다름 없습니다. <br> <br> 미국 금리가 오른 영향으로 하반기 국내 기준금리 인상도 예상돼 자영업자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이현수입니다.<br> <br>soon@donga.com <br>그래픽 : 박진수 김종운 <br>영상편집 : 오성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