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과 중국 사이 무역 전쟁이 정면 대결 양상으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, 중국이 16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25%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의 이번 보복조치는 미국이 16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추가 관세 부과를 밝힌 것에 대한 대응입니다. <br /> <br />조승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중국 상무부가 8일 밤 홈페이지를 통해 160억 달러, 우리 돈 약 17조 9천억 원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25%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이 자국 제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똑같은 규모에, 똑같은 세율입니다. <br /> <br />'눈에는 눈 이에는 이' 전략입니다. <br /> <br />중국 상무부는 미국의 관세 부과는 국내법을 국제법 위에 놓는 매우 비이성적인 행위로, 중국은 정당한 권익을 보호하고, 다자무역 주의를 지키기 위해 대응을 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의 맞불 대응을 보면 미국과의 무역 전쟁에서 절대 밀리지 않겠다는 결연한 의지가 읽힙니다. <br /> <br />두 나라가 주고받는 관세 폭탄은 마치 미사일 정밀 타격 같은 정확도를 자랑합니다. <br /> <br />미국이 이른바 중국 굴기를 상징하는 반도체와 철도차량 등을 겨냥하는 것 못지않게, 중국도 미국의 주요 수출품인 원유, 철강, 자동차 등을 콕 집어 관세 부과 리스트에 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미국이 전선을 확대할 경우 결국은 중국이 버텨내지 못할 것이란 전망이 조심스레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정부가 2천억 달러 규모의 중국 제품에 관세율을 10%에서 25%로 올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데 다, 트럼프 대통령이 장기적으로 부과 대상을 5천억 달러 선까지 올리겠다고 공언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아울러 현실적으로 중국의 대미 수입 규모가, 대미 수출 규모보다 훨씬 적어 맞불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일각에서 중국 정부가 비관세 부문 카드까지 검토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배경입니다. <br /> <br />비관세 카드로는 자국민의 미국 관광과 유학을 제한하거나, 중국 진출 미국 업체에 행정 처리를 지연시키는 방식 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조승희[josh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80809032431129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