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관세청은 북한 석탄을 들여온 수입업자들이 서류를 위조하는 바람에 확인하기 힘들었다고 설명했습니다.<br><br>하지만 석탄의 원산지는 생각보다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<br><br>조아라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사내용]<br>지난해 10월 러시아 홀름스크항을 출발해 국내로 석탄을 들여온 샤이닝리치 호.<br><br>수입업체 H사는 동해항에 입항하면서 세관에 ‘북한산’을 ‘러시아산’이라고 속인 무연탄 원산지 증명서를 제출했습니다. <br><br>서류 밑에는 러시아 상공회의소 도장도 찍혔습니다.<br><br>정상적인 원산지 증명서와 달리 석탄을 채굴한 탄광도, 석탄을 싣고 온 선박명도 빠져있습니다.<br><br>관세청은 원산지 증명서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게 쉽지 않다고 해명했습니다.<br><br>하지만 러시아 상공회의소 홈페이지에서 원산지 증명서의 식별번호와 발행일을 입력해 봤습니다.<br><br>‘인증서가 없다’는 안내문구가 뜹니다.<br><br>샤이닝리치호가 실고 온 석탄은 적어도 러시아산이 아니라는 겁니다.<br><br>북한이 중국과 러시아 브로커를 통해 원산지 증명서를 위조해온 사실은 암암리에 알려진 만큼 원산지 증명서 자체가 유명무실해졌다는 주장도 나옵니다.<br><br>[대북무역업체 관계자]<br>"옛날 밀수가 심했을 당시에 증서로 제출했던 것이지 그 이후에는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서류 중에 하나입니다."<br><br>관세청이 기본적인 검증 절차조차 소홀히 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><br>채널A뉴스 조아라입니다. <br><br>likeit@donga.com<br>영상취재: 김용우<br>영상편집: 이승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