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해 중반까지만 해도 급등하던 가계부채 증가세는 한풀 꺾였지만, 자영업자 대출 증가세가 심상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3월부터 정부의 대출 억제책이 시행됐지만, 은행권 자영업자 대출은 매월 2조 원대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박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월부터 2조 원대 증가세를 이어온 자영업자 대출, 지난달엔 2조5천억 원이나 늘어 넉 달 만에 최대 증가 폭을 보였고, 대출액은 304조 원을 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전체 기업대출 증가액이 5조 8천억 원인데 그중 절반이 자영업자 대출입니다. <br /> <br />물론 증가액은 가계대출이 크지만, 증가 속도를 보면 자영업자 대출이 훨씬 빠릅니다. <br /> <br />주택담보대출을 비롯한 가계대출을 조이자 그 수요가 자영업자 대출로 옮겨간 이른바 풍선효과인데, 문제는 대출의 질입니다. <br /> <br />상대적으로 대출 문턱이 낮은 제2금융권으로 가면 자영업자 대출 증가세는 더욱 가팔라집니다. <br /> <br />저축은행의 자영업자 대출 증가율은 기업의 2배, 가계대출의 4배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고금리를 무릅쓰고 대부업체로까지 눈을 돌리는 자영업자도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대부업체 이용자 중 자영업자만 그 비중이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[성태윤 / 연세대 상경대학 교수 : 오히려 취약한 계층들이 주로 이용하는 제2금융권을 비롯한 부분의 대출이 늘어나고 있고요. 이 부분이 사업자금 및 생계자금으로 자금을 조달하고 있는 자영업자들의 상황을 악화시키는 데 일조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.] <br /> <br />가계부채 억제 정책의 효과로 전체 가계대출 증가세는 더뎌졌지만, 규제를 강화해도 자영업자 대출은 쉽게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경기 불황이 지속하면서 버티기 위해서는 빚을 낼 수밖에 없는 자영업자들의 현실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[조영무 /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 :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자영업자들이 사업자대출까지 받은 경우에 다중채무자가 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황이고, 여기에 최근 들어 자영업 경기가 어려워짐에 따라 향후 업황악화에 따른 대출 부실화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여집니다.] <br /> <br />버는 돈보다 갚아야 할 이자가 커지는 상황이 이어지는 가운데, 이자율이 높은 2금융권과 대부업체를 찾는 자영업자들까지 늘면서 부실 가능성은 커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YTN 박영진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0811051605645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