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8월말 9월초에는 남북 정상회담이 추진되는 것 뿐만 아니라 시진핑 중국 주석의 평양방문 가능성도 점쳐집니다.<br><br>북한이 외화벌이를 포기해 가면서 당분간은 외국인 단체 관광객을 받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.<br><br>조아라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사내용]<br>북한 여행사들이 최근 중국의 북한 전문여행사들에 일제히 통지문을 보냈습니다. <br><br>북한 국제청소년여행사는 "10일부터 20여일간 호텔 보수공사에 들어가 단체 관광객을 받을 수 없다."고 통지했습니다.<br><br>또 다른 여행사도 '곤란한 국가적 조치'로 오늘부터 9월 5일까지 북한 관광을 중단한다고 알려왔습니다.<br><br>북한이 정권수립 기념일인 9.9절을 앞두고, 해외 주요 인사들을 초청하는 등 대형 열병식을 준비하면서 일시적 통제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.<br><br>올해는 정권수립 70주년으로 김정은이 각별히 챙기고 있는 만큼, 중국 고위급 인사들, 특히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북을 대비한 조치라는 관측도 나옵니다. <br><br>[김정은 국무위원장(올해 신년사)]<br>"새해는 우리 인민이 공화국 창건 70돌을 대경사로 기념하게 되고…"<br><br>김정은이 올들어 세 차례나 방중해 시 주석이 답방할 가능성은 꾸준히 제기돼 왔습니다. <br><br>미국의 제재에 맞서 다시 한번 북중 밀월 관계를 과시할 수도 있다는 겁니다.<br><br>하지만 외교 소식통은 시주석이 방북하려면, 중국을 포함한 4자 종전선언에 대한 구체적인 성과 등이 전제되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. <br><br>채널A뉴스 조아랍니다.<br><br>likeit@donga.com<br>영상편집: 강 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