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서울에 있는 약수터 3곳 중 1곳은 오염돼 물을 마시면 안되는 것으로 드러났는데요. <br> <br>하지만 이들 약수터는 여전히 개방돼 있습니다. <br> <br>영문도 모르는 시민들은 오염된 약수를 지금도 마시고 있습니다. <br> <br>정현우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약수터를 찾은 시민들이 바가지 가득 물을 받아 마십니다. <br> <br>물을 받아 가려고 플라스틱 병부터 대형 생수통까지 동원됩니다. <br> <br>마시면 안 된다는 경고문은 무용지물. <br> <br>인근 식당은 아예 차로 실어 나릅니다. <br> <br>[인근 식당 관계자] <br>"몸에 좋아요. (그래서) 갖다 먹는 거예요. 수돗물보다는 낫겠죠." <br><br>청계산 어귀에 있는 또 다른 약수터. <br> <br>[정현우 기자] <br>"이 약수터 옆에는 마시기에 부적합하다는 경고문이 붙어 있는데요. <br> <br>하지만 폐쇄되지 않고 여전히 시민들에게 개방돼 있습니다." <br> <br>[약수터 이용객] <br>"(오염된 줄) 몰랐는데요. 물 나오는 데 앞에다가 (경고문을) 붙여 두면 안 먹을 것 아니에요." <br><br>최근 서울시의 수질 검사 결과 약수터 220곳 가운데 음용 부적합 판정을 받은 곳은 79곳. <br><br>설사와 복통을 유발할 수 있는 대장균군은 물론, 중금속까지 검출된 곳도 있지만 폐쇄된 곳은 한 군데도 없습니다. <br> <br>부적합 판정을 받은 약수터는 사용 중지나 폐쇄하도록 규정돼 있지만, <br> <br>일선 구청들은 물 공급을 멈추면 주민들의 항의가 쏟아진다며 조치에 소극적입니다. <br> <br>[구청 관계자] <br>"물을 음용수로 드실 건지 아니면 그 물을 가져다 다른데 쓸건지 (주민들이) 알아서 하셔야죠." <br> <br>전문가들은 오염된 약수가 건강을 해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. <br> <br>[성은주 / 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] <br>"여름에 균은 훨씬 많아지고, 면역은 떨어진 상태에서 (오염된 물을) 먹게 되면 병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이고…" <br> <br>당국의 방치 속에 오염된 약수가 시민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현우입니다. <br> <br>정현우 기자 edge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조세권 <br>영상편집 : 김지균 <br>그래픽 : 김태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