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기도 김포 한강 하류에서 구조 작업하다 실종된 소방대원 두 명 중 한 명의 시신이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수색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이경국 기자! <br /> <br />실종됐던 소방관의 시신이 발견됐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오늘 오후 2시 10분쯤 김포대교에서 행주대교 방향으로 200m 떨어진 지점에서 심 모 소방교의 시신이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인근을 수색 중이던 해경 순찰정이 발견했는데요. <br /> <br />당시 심 소방교는 구조대 조끼를 입은 상태였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 심 소방교의 시신은 인근의 병원으로 옮겨진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앞서 오늘 새벽부터 본격적인 수색작업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해병대와 해양경찰, 소방당국 천여 명이 투입됐고, 소방헬기 역시 수색에 참여해 한강 하류 인근을 집중 수색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어제보다 작전범위도 확대됐습니다. <br /> <br />경기도 김포 애기봉 근처에는 해병대가, 또 교동도 인근에는 해양경찰이 투입됐는데요. <br /> <br />이곳은 북한과 인접해 있어 수상작업은 불가능해 강가 위주로 수색이 진행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사고가 난 구조 보트에 대한 인양 작업 역시 진행됐습니다. <br /> <br />소방당국은 물이 빠지는 썰물 시간에 맞춰 민간어선과 해경의 도움을 받아 선박을 물 밖으로 빼냈습니다. <br /> <br />인양현장에 도착한 실종자 가족은 뭍으로 나온 선박을 보고 오열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합동수색팀은 남은 실종자에 대해서도, 총력을 다해 수색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사고 원인 조사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선 소방당국은 빠른 물살에 보트가 뒤집혀 사고가 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출동대원들 모두 안전장비를 착용했고 문제는 없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또 사고가 난 곳이 평소 물살이 거세 구조활동에도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, 수중보를 관리하는 한강사업본부 측은 매뉴얼 대로 사전 방송을 한 뒤 수문을 개방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수문을 연다고 해서 급류가 발생하지 않을뿐더러, 오히려 수중보 쪽은 유속이 느려진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실종된 소방관들은 모두 수난구조대에서 6년 넘게 근무해온 것으로 확인됐는데요. <br /> <br />모범공무원 표창까지 받을 정도로 유능한 직원이었던 것으로 확인돼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사고 원인을 둘러싼 입장이 차이를 보이는 가운데, 수색 작업과 함께 사고 경위에 대한 조사 역시 필요할 것으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80813160334225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