광복절을 맞아 거리 곳곳에 태극기가 게양됐습니다. <br /> <br />태극기는 고종 황제 때 처음 만들어져 일제를 거쳐 임시 정부가 수립되면서 정식 국기가 됐는데, 초기 모습은 지금과 달랐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정혜윤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금까지 전해진 태극기 중에 가장 오래된 것은 데니 태극기로 불리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고종이 미국인 외교 고문인 '데니'에게 하사한 것인데, 태극 문양은 다르지만, 기본적인 색깔과 4괘가 지금의 태극기와 거의 비슷합니다. <br /> <br />데니 태극기를 포함해 지금까지 문화재로 등록된 초기 태극기는 모두 18가지. <br /> <br />그 중엔 일제 치하 독립투사들이 사용했던 태극기가 가장 많습니다. <br /> <br />이 태극기는 조선 말기 전남 구례에서 활약한 의병장 고광순이 사용한 것으로, 중앙에 '불원 복'이란 글자가 새겨져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도형 / 독립기념관 책임연구원 : '불원 복'이란 말 그대로 광복할 날이 얼마 안 남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] <br /> <br />태극과 괘가 튼튼하게 박음질 돼 있는 태극기. <br /> <br />백범 김구 선생이 직접 글을 쓰고 도장을 찍은 것으로 미국으로 향하는 벨기에인 신부에게 우리 동포들에게 전해줄 것을 부탁했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09년, 북한산 아래 진관사에서 발견된 태극기. <br /> <br />독립 운동가였던 '백 초월' 스님이 숨긴 것으로, 파란색 부분에 덧칠이 보입니다. <br /> <br />군데군데 물감이 번진 부분도 있는데 일장기 위에 그려졌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나라를 지키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그 때문에 숨겨져야만 했던 태극기. <br /> <br />모양은 다르지만, 태극기는 우리 민족에게 의지와 용기를 북돋아 주는 정신적 지주였습니다. <br /> <br />YTN 정혜윤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6_20180815001833761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