잇따른 화재로 '불자동차'로 불리는 BMW 사태와 관련해 회사 측이 차량 결함을 알고도 숨겨왔는지를 밝히기 위한 수사가 본격화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고소인 조사에 이어 수사당국은 조만간 BMW 임원들을 조사할 계획인데 넘어야 할 산이 한두 개가 아닙니다. <br /> <br />김태민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BMW 차량 화재 문제가 불거지기 시작한 건, 폭염이 절정이던 지난달 중순입니다. <br /> <br />피해 신고가 잇따르면서 국토부의 강제조사 방침까지 나오자, BMW는 모두 42개 차종, 10만6천 대를 자발적으로 리콜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지난 6월에야 배출가스 재순환장치, EGR의 냉각수 누수 때문에 불이 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글렌 슈미트 / BMW그룹 기업홍보 총괄 (지난 6일) : EGR 쿨러 쪽의 누수가 근본 원인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었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피해자들은 BMW 해명을 믿지 못하겠다며 임원진들을 경찰에 고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광덕 / BMW 화재 피해차량 주인(지난 13일) : 정확한 화재 원인과 결함 은폐에 대해서 진술할 거고요….] <br /> <br />고소 대상은 하랄트 크뤼거 BMW 회장까지 확대되고, 소비자 시민단체도 검찰에 고발장을 제출한 상태. <br /> <br />수사 초점은 BMW가 차량 결함을 알고도 숨져왔는지 밝히는 데 모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검경은 BMW가 이미 2016년 말, 문제가 된 EGR 냉각기 설계를 바꿨고 이후 모델부터는 화재 신고가 없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설계 변경까지 1년 정도 필요한 업계 관행상, BMW 측이 최소 2016년 초부터 결함을 알았을 것으로 의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필수 /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: 하루 이틀에 나오는 게 아니라 1, 2년 전에 미리 알고 있어야지 설계요청을 하고 변경 요청이 돼서 새로운 부품이 만들어지는 거지. 몇 개월 안에 뚝딱 하고 만들어지는 게 아니거든요.] <br /> <br />여기에다 지난 3월, 환경부에 제출한 결함시정계획서에도 석연찮은 부분이 적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'열 충격'과 '부품 파손'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리콜 계획을 제출하고도, 정작 차량 화재 위험은 몰랐다는 해명은 설득력이 떨어집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수사당국은 BMW 관계자들의 내부 논의 과정을 파악해 은폐 의혹을 밝힐 증거 확보에 주력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BMW 측이 자료 제출에 미온적인 데다 독일 본사에 대한 강제수사 역시 쉽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뿐만 아니라, 동시에 고소, 고발장을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80818052831743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