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미국에서는 한국 정부를 향한 의미심장한 메시지가 연일 나오고 있습니다.<br><br>볼턴 백악관 안보보좌관은, '1년내 비핵화 약속'이 문재인 대통령이 판문점 합의때 제안하고 김정은 위원장이 동의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.<br><br>박정훈 워싱턴 특파원입니다.<br><br>[기사내용]<br>고비 때마다 대북압박의 선봉에 섰던 볼턴 국가안보보좌관이 이번엔 문재인 대통령을 직접 거론하며 압박했습니다.<br><br>[볼턴]<br>"문 대통령이 (판문점 회담 때) 1년내에 비핵화를 하자고 얘기했습니다."<br><br>[앵커]<br>"그러면 1년을 시한으로 생각하는 건가요?"<br><br>[볼턴]<br>"김정은이 그렇게 하겠다(yes)라고 대답했습니다."<br><br>볼턴 보좌관은 2주 전에도 김정은 위원장이 문 대통령에게 1년내 비핵화를 약속했다고 언론에 공개했는데, 이번엔 남북 간 합의사항이라며 노골적으로 우리 정부를 압박한 겁니다.<br><br>비핵화 본질이 아니라 남북 관계 개선에 초점을 두면서 대북제재 면제를 반복적으로 요청하는 데도 미국은 못마땅해 하는 분위기입니다. <br><br>청와대 김의겸 대변인은 '1년 비핵화 합의' 발언에 대해 "정상 간 대화여서 확인해줄 수 없다"고 말했습니다.<br><br>트럼프 행정부 내부에선 한국 정부 말을 너무 믿고 성급하게 북한과 대화를 시작했다고 자책하는 기류도 읽힙니다. 우리 정부가 비핵화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다면 한미동맹에 타격이 우려되는 시점입니다.<br><br>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박정훈입니다.<br><br>영상편집 김민정<br>영상취재 이상도(VJ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