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너무도 긴 세월을 기다린 끝에 이제야 만났습니다. <br> <br>강산이 6번 넘게 바뀌는 동안 만나지 못했던 자식은 어느새 백발이 성성해졌습니다. <br> <br>오늘 금강산에서 성사된 남북 이산가족 상봉 현장을 박민우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백발의 어머니는 아들을 단번에 알아봤습니다. <br> <br>[이금섬 / 남측 상봉자 (92세)] <br>"니가 막내가? (많이 큰 애기지.)" <br> <br>전쟁통 피난길에 남편, 아들과 생이별해야 했던 이금섬 할머니는 참았던 눈물을 터트립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엄마 왜 그래? 진정해." <br> <br>70년 만에 만난 언니는 한복을 곱게 차려입었습니다. <br> <br>북에 남겨진 다섯 남매 중 언니만 살아 다시 만났습니다. <br> <br>[조혜도(86) 조순도(89)] <br>"우리 언니 고생했지. 우리 때문에 너무 힘들었지? 언니 감사해. 끝까지 와서 너무 고마워." <br> <br>오랜 기다림 탓인지 눈물도 마른 듯 담담한 상봉도 많았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야, 여기가 닮았네. 눈이 닮았어.” <br> <br>고령으로 사망하는 이산가족이 늘면서 직계 가족 만남은 크게 줄었습니다. <br> <br>우리 측 상봉단 89명 가운데 부모와 자식 간 상봉은 7가족뿐이었습니다. <br> <br>배우자 상봉은 한 가족도 없었습니다. <br> <br>조카, 사촌들이 만나 돌아가신 분의 삶을 전해 들었습니다. <br> <br>[윤흥규 / 남측 상봉자 (92세)] <br>내 동생 죽었어? 원규? (네) 언제? <br>(그건 잘 모르겠습니다.) <br> <br>내일은 객실에서 점심을 함께하며 가족별 만남을 갖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민우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