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제 지표가 나쁠 때마다 어김없이 등장하는 김동연·장하성 엇박자 논란에 대해 청와대는 두 사람이 역할을 분담했을 뿐 관점은 같다고 진화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야당이 총공세를 펼치는 소득주도 성장 수정 요구에 대해서는 용어에 얽매이지 않는다면서도 정책 기조는 바꾸지 않는다고 거듭 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도원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문재인 대통령이 경제팀의 완벽한 팀워크를 강조한 다음 날. <br /> <br />김동연 경제부총리와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의 갈등설은 국회에서 다시 쟁점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김 부총리는 시장 반응에 따라 정책을 일부 개선할 필요는 있다면서도, 정책 기조에 이견이 없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김동연 / 경제부총리 : 소득주도 성장과 혁신성장과 공정경제에 대한 기조의 틀은 흔들림이 없고, 저희가 가야 할 길이라는 데에는 저 역시 같은 생각으로, 제가 어떻게 보면 그것을 진두지휘하고 있는 사람 중의 하나이지요.] <br /> <br />청와대도 김 부총리와 장 실장의 엇박자 논란에 대해 적극 해명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두 사람이 경제 정책을 끌고 가는 투톱으로서 목적지에 대한 관점이 같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소득주도 성장과 혁신성장, 공정경제에서 서로 분담하는 역할이 다를 뿐이라는 이야기입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는 그렇지만 이같은 상황을 언론과 야당이 갈등의 프레임으로만 해석하는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소득주도 성장의 부작용에 대해서도 단언하기 이르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통계를 보면 상시고용 근로자 수가 꾸준히 늘어 일자리의 질은 좋아진다고도 볼 수 있고, 직원을 고용한 자영업자의 수는 오히려 늘어나는 긍정적인 면도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또, 과거 대기업 위주 정책 때문에 양극화가 심해지고 서민과 중산층이 어려워진 것 아니냐며 소득주도 성장의 시대적 정당성을 역설했습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는 소득주도 성장의 기조를 바꿀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최저임금 인상이 소득주도 성장의 전부가 아니라면서 양극화 해소라는 큰 목표로 가는 수단에 있어서는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도원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821222635383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