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65세 이상 어르신들에게는 무료로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는 교통카드가 지급되는데요. <br> <br>하지만 무료 교통카드를 가족이나 아는 사람들에게 빌려주는 부정승차가 갈수록 늘고 있습니다. <br> <br>김단비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지하철 개찰구 카드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찍자 빨간색 불이 들어옵니다. <br> <br>요금이 무료인 어르신 우대용 교통카드를 사용했다는 표시입니다. <br> <br>어르신 교통카드를 다른 사람들이 사용하는 부정승차가 크게 늘면서 서울 모든 지하철역에는 이같은 시스템이 도입됐습니다. <br> <br>[강성모 / 서울교통공사 영업계획처 차장] <br>"할아버지는 70세고, 할머니는 65세 이하인 경우에는 별로 차이가 안 나잖아요. 가족들에게 많이 대여를 해줍니다." <br><br>어르신 우대용 교통카드 부정승차 적발 건 수는 해마다 늘어 지난해에만 2만 건. 금액으로는 8억7천만 원에 달합니다. <br><br>숨진 어르신의 카드가 사용되는 일도 적지않았고 100세가 넘는 어르신들의 교통카드는 열에 아홉은 다른 사람이 쓰고 있었습니다. <br> <br>서울시는 부정승차를 막기 위해 특별단속반도 가동하기로 했지만 일일이 찾아내기란 쉽지 않습니다. <br> <br>일각에선 무임승차 제도 자체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도 있습니다. <br> <br>[조강훈 / 서울 성동구] <br>"부정하게 이용한다면 굳이 (무임승차를) 제공해줄 필요가 없을 것 같아요." <br> <br>[최청자 / 서울 동대문구] <br>"연령 연장을 해서 했으면 그런 생각도 들어요. 너무 노령인구가 많으니까." <br> <br>한해 서울지하철에서 어르신 무임승차에 들어가는 비용은 3천600억 원. <br> <br>부정승차까지 꾸준히 늘자 무임승차제도에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김단비입니다. <br> <br>김단비 기자 kubee08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: 김기범 <br>영상편집: 민병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