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여러분 안녕하십니까?<br><br>우리 정부의 대북 특사 파견에 대해, 미국 정부는 비핵화 진전에 발맞춰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<br><br>미국의 의회 역시 비핵화 조치가 없으면, 대북 에너지 공급을 차단하겠다며 북한을 압박하고 나섰습니다.<br><br>첫 소식 김윤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기사내용]<br>대북 특사 파견에 대해 미국은 신중한 반응을 내놨습니다. <br><br>미 국무부는 "남북 관계 역시 비핵화 진전과 발맞춰야 할 것”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<br>섣불리 앞서 가지 말라는 겁니다.<br><br>미 상원 역시 "11월 중간 선거 전까지 북한이 비핵화 약속을 이행하지 않으면 대북 에너지 공급을 차단하는 제재법안을 통과시키겠다"고 엄포를 놨습니다.<br><br>미국의 압박 속에 5일 방북할 우리 특사단은 지난 3월 1차 방북 때와 비슷하게 꾸려질 전망입니다.<br><br>정의용 안보실장과 서훈 국정원장 투톱이 다시 나서<br><br>남북 정상회담 일정은 물론 꼬여 있는 비핵화와 종전선언도 논의할 계획입니다.<br><br>이때 금강산 관광 재개 등 새로운 당근도 함께 제시할 가능성이 큽니다.<br><br>하지만 비핵화 결정권을 가진 김정은 위원장과의 만남은 정해지지 않아 자칫 빈손 방북이 될 수 있습니다. <br><br>[신범철 /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] <br>특사는 정상회담 이전에 리트머스 시험지다. 김정은이 안 만나 주는 건 핵 문제에 있어 양보하지 않으려는 것.<br><br>또 방북 시기가 북한 정권 수립일인 9.9절에 임박해인 만큼 특사단이 체제 선전에 이용될 수 있단 우려도 나옵니다.<br><br>채널A 뉴스 김윤정입니다.<br><br>yjyj@donga.com<br>영상편집 : 오수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