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2030년까지 원전 분야의 산업 인력 만 명이 일자리를 잃는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. <br><br>원전 관련 공기업들의 적자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데요. <br> <br>탈원전을 둘러싼 논란이 한층 거세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김지환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20년 넘게 원전용 부품업체를 운영하고 있는 A씨. <br> <br>최근 직원을 30% 줄인 데 이어 업종 전환까지 고민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새 정부 들어 신규원전 건설이 백지화되면서 된서리를 맞은 겁니다. <br> <br>[A씨 / 원전용 부품업체 대표] <br>"살아날 수 있는 가능성이라고는 거의 없다고 봐야… .투자한 건 어디서 뽑습니까? 300~400억 원 투자했죠." <br> <br>원전업계의 일자리 위기는 정부가 직접 의뢰한 연구보고서에서도 드러납니다. <br><br>보고서는 해외 원전 추가 수주가 없으면, 현재 3만 8천 명 수준인 원전 산업인력이 2030년엔 3만 명 밑으로 줄어들 걸로 내다봤습니다.<br> <br>기획재정부는 올해 한국전력은 4480억 원, 한국수력원자력은 무려 1조 2천억 원의 적자를 낼 걸로 전망했습니다. <br> <br>4년 뒤에는 부채비율이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, 탈원전 영향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[성풍현 / 카이스트 원자력양자공학과 교수] <br>"원자력을 충분히 가동하지 않기 때문에 벌어지는 일… . 가스를 이용해서 전기를 생산하니까 그만큼 돈이 많이 드는 거죠." <br> <br>정부는 이에 대해 한전의 적자는 연료비와 전력구입비 상승의 영향이라고 반박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공기업의 적자는 고스란히 국민 부담으로 이어지는 만큼, 탈원전 정책 논란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지환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이재근 <br>그래픽 김승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