원자력 하면 에너지 분야가 먼저 떠오르는 데요. <br /> <br />원자력 분야가 의료는 물론 국방과 항공우주 등 고부가가치 첨단 신소재까지 적용 분야를 넓혀 나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정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원자력 분야에 쓰이는 소재는 고온에 잘 견디고 산화로 인한 부식이나 수소 발생이 없어야 합니다. <br /> <br />원자력 안전 향상을 위해 기존 소재보다 고온과 중성자에 월등히 강한 '산화물 분산 강화 신소재'가 개발됐습니다. <br /> <br />고강도 내열성 합금과 함께 튜브 제조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한 겁니다. <br /> <br />[김태규 / 한국원자력연구원 신소재개발실 : 나노 크기의 미세한 산화물을 금속 기지 내에 아주 미세하고 균일하게 분산시켜서 고온 기계적 특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하는 이러한 기술이 되겠습니다.] <br /> <br />고온에서도 잘 변형되지 않고 중성자에 노출돼도 물질 구조가 쉽게 변하지 않는 게 강점입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핵연료 피복관을 비롯해 항공 엔진과 터빈, 선박, 우주선 소재 등 첨단산업 핵심 소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연구팀은 원자로 핵연료 피복관에 사용할 '내열성 고강도 산화물 분산강화 철강' 제조에 성공해 한국과 일본에서 특허 등록을 마쳤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전문기업과 핵연료 피복관에 사용할 수 있는 지름 7.4㎜, 두께 0.6㎜, 길이 3m 정밀 튜브 개발에도 성공해 상용화 가능성을 열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원주 / 한국원자력연구원 신소재개발실장 : 원자력 안전 향상에 기여 할 수 있는 피복관 소재뿐만 아니고 국방 분야라든지 우주 항공 분야, 선박용 엔진 소재같이 굉장히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공통 기술을 확보했다는 데에 의미가 있겠습니다.] <br /> <br />원전부품 개발에서 시작한 연구성과가 고부가가치 차세대 첨단 소재 분야로 확장돼 소재산업 기술 선도와 함께 국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정우[ljwwow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80905042127667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