젓가락은 천 년 넘게 사용되어온 식사 도구입니다. <br /> <br />이 젓가락이 도구에서 공예로까지 진화해 한 데 모여 축제를 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동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밥을 먹을 때 없어서는 안 될 젓가락. <br /> <br />일본과 중국 그리고 한국의 젓가락들이 저마다의 특색을 뽐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아주 오래된 것들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수백 가지가 넘습니다. <br /> <br />실용성과 예술성을 고루 갖춘 젓가락들이 즐비합니다. <br /> <br />우리 옻칠 전통 장인이 손잡이에 금박까지 입혀 만든 나전칠기 젓가락이 돋보입니다. <br /> <br />[김성호 / 옻칠장인 : 투명 코팅을 합니다. 때문에 아무 때나 쓰시는 데는 괜찮고요. 옻칠이기 때문에 위생에 굉장히 뛰어난 그런 기능을 가진 젓가락이라 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달걀흰자, 조개껍데기 등을 이용해 만든 일본의 젓가락에서 깊고 풍부한 생활의 저력과 뛰어난 기예가 엿보입니다. <br /> <br />중국의 젓가락도 과거와 현대를 아우르는 전통의 혼이 묻어납니다. <br /> <br />[박경혜 / 젓가락 수집가 : 이전까지 없었던 식문화를 창출하는 데 젓가락 공예품도 기여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을 했습니다.] <br /> <br />나무 젓가락을 가지고 물총을 만들어 보는 등 각종 공작 체험도 마련돼 학생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백인석 / 청주문화산업진흥재단 팀장 : 젓가락 하나로 한·중·일 삼국이 하나 될 수 있는 그런 과정을 관람객들께서 같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.] <br /> <br />오는 16일까지 열리는 젓가락 축제는 생활 양식의 과거와 미래를 이어가는 창조의 가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동우[kim114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80908220424308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