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메르스 위기경보 격상하나?...'2주간'이 확산 고비 / YTN

2018-09-09 19 Dailymotion

■ 이재갑 / 한림대 감염내과 교수 <br /> <br /> <br />전문의를 연결해서 지금 메르스 상황 어떤지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. 한림대학교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 연결되어 있습니다. 교수님, 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안녕하세요? <br /> <br /> <br />일단 다행인 게 영국인 20대 여성, 그 같은 비행기에 탔습니다마는 조금 떨어져 있었던 여성이었는데 의심 증상이 보였지만 음성으로 나왔다고 합니다. 음성으로 나왔다는 게 어떤 얘기인지부터 먼저 설명해 주시겠습니까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메르스 환자가 보통 입원하게 되면 호흡기 검출을 얻어내고요. 거기서 유전자 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. 첫 번째 유전자 검사를 해서 음성 판정을 받았다는 얘기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러면 메르스에 걸린 건 아니다괜찮다, 이런 얘기인가요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그렇게 보시면 되는 겁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러니까 같은 공간에 있었어도 어떤 사람은 걸리고 어떤 사람은 걸리지 않고. 이게 좀 천차만별일 수 있겠군요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어쨌든 여러 가지 조건들이 있는데요. 일단 환자, 증상 있는 환자가 바이러스를 많이 배출할 수 있는 상황이어야 되는 거고요, 감염이 되려면. 그다음에 접촉을 한 사람의 건강상태라든지 전신 상태, 이런 거에 영향을 받아서 감염자나 비감염자가 보통 결정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난 3년 전에도 저희들이 이런 질문 많이 했는데 환자가, 메르스에 걸린 환자가 바이러스를 가장 많이 몸에서 배출할 때, 이때는 사실 초기 기침하는 증상, 그때는 아니죠? 병원으로 옮겨진 다음 아니겠습니까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그러니까 보통 병원에서 폐렴 발생이 하는 경우에 바이러스 검출이 많은데요. 대부분 병원에 입원하는 상황이 되는 거죠. 그래서 병원에 입원해서 X레이가 변화도 생기고 또 가래, 기침도 심해지고 이럴 때가 바이러스 배출을 많이 하기 때문에 그런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주로 환자들이 병원 안에서 접촉자들이 많이 발생했던 이유들이 2015년도에 그랬었던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래서 지난번에 메르스 의심 환자가 갑자기 늘었던 게 병원의 감염이었는데. 이번에는 그래도 첫 번째 걸리신 분이 60대 남성이 상당히 대처를 잘했던 것 같아요. 삼성서울병원 가면서 택시인가요? 아무튼 가는 도중에 전화로 나 좀 이런 일이 있다, 이렇게 얘기를 했다면서요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사전에 정보를 주신 것도 잘한 부분이고요. 그리고 또 삼성의료원에 연락을 해서 중동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80910080355040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