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세금으로 개발한 첨단 유전공학 기술이 연구 책임자였던 대학 교수가 세운 민간업체에 헐값에 넘어갔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. <br><br>해당 업체는 의혹을 부인했지만 논란은 커지고 있습니다.<br><br>이민준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사내용]<br>김진수 전 서울대 교수가 크리스퍼 '유전자 가위' 기술을 개발한 건 서울대에 재직 중인 지난 2012년 일입니다.<br><br>생물 유전자에서 원하는 부분을 잘라내는 효소를 만드는 기술인데, 잘라낸 위치에 다른 유전자를 채워 넣어 유전자 질환을 고치는데 핵심 기술로 꼽힙니다.<br><br>한국연구재단이 4년 간 연구비 29억 원을 댔는데, 기술 개발 직후 이 기술의 특허를 김 전 교수가 대주주로 있는 민간기업 '툴젠'이 2천만 원에 사간 걸로 확인됐습니다.<br><br>세금으로 개발한 기술을 민간 기업에 헐값 유출했다는 비판에 대해, '툴젠' 측은 기술 이전계약은 적법했다고 반박했습니다.<br><br>[툴젠 관계자]<br>"적법하게 서울대와 체결한 계약 내용에 따라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에 대한 권리를 이전받았습니다."<br><br>툴젠 측은 현재 시가 120억 원에 이르는 자사 주식 10만 주도 서울대 측에 기부했다고 밝혔습니다.<br><br>서울대도 기술 이전 계약 당시엔 기술의 경제적 가치가 불투명했다고 항변합니다.<br><br>[서울대 관계자]<br>"잠재적으로 큰 가치가 있는 것만 가지고 수천억 원씩 내고 기술이전 해야 된다고 하면 어떻게 교수가 창업을 합니까."<br><br>논란이 커지자 서울대는 기술 이전 과정에 문제가 있었는지 감사에 들어갔습니다.<br><br>채널A 뉴스 이민준입니다.<br><br>2minjun@donga.com<br>영상취재 : 김용우<br>영상편집 : 이혜리<br>그래픽 : 박진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