군사 정권에 의해 자행된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에 대해 부산시가 피해자들에게 사과하고 지원을 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국회에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촉구했는데 피해자들의 억울함이 풀릴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오태인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1975년부터 1987년, 군사 정권 시절. <br /> <br />거리의 부랑자를 선도한다는 이유로 3천여 명을 끌고 가 감금하고 강제노역을 시킨 '형제복지원 사건'. <br /> <br />이 과정에서 구타와 학대, 성폭행은 물론 살인까지 자행돼 형제복지원 자체 집계로만 513명이 숨졌습니다. <br /> <br />대규모 인권 유린 사건이 발생한 형제복지원에 각종 혜택을 제공한 부산시는 31년 만에 사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복지시설 관리 감독과 시민의 인권을 보호하지 못했다며 피해자와 가족들에게 고개 숙였습니다. <br /> <br />[오거돈 / 부산시장 : 부산시를 대표하는 시장으로 너무 늦었지만, 시민 여러분과 누구보다 피해자와 가족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.] <br /> <br />30년이 넘는 세월 동안 남몰래 억울함을 달래던 피해자들은 부산시의 공식적인 사과에 눈물을 흘렸습니다. <br /> <br />또 부산시 차원의 철저한 실태조사와 함께 국회에 계류하고 있는 특별법 제정을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[한종선 / 부산 형제복지원 피해자모임 대표 : 피해 생존자들이 하루하루 고통 속에서 살아가면서 돌아가신 분들이 많습니다. 많은 관심으로 특별법 통과돼서 진상 규명 할 수 있게끔….] <br /> <br />수많은 피해자가 있음에도 1987년 당시 대법원은 부산 형제복지원 원장의 특수감금 혐의에 대해 무죄 판결을 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최근 대검찰청 검찰개혁위원회에서 대법원의 판단을 다시 받아야 한다며 검찰 총장에게 비상상고를 권고한 상황. <br /> <br />여기에다 부산시와 피해자들의 특별법 제정 촉구가 더해지면서 피해자들과 가족들의 억울함을 풀어줄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YTN 오태인[otaie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80916224126997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