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지구상에서 가장 빠른 공, 바로 배드민턴 셔틀콕인데요. <br> <br>무게는 5그램에 불과하지만, 순간 최고 속도는 시속 330km에 이릅니다. <br> <br>그만큼 제작 공정도 까다로운데요. <br> <br>김도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천연 거위 깃털을 정밀하게 분류하는 것부터 시작되는 셔틀콕 제작. <br> <br>휘어진 각도에 따라 깃털을 서른 여섯 종류로 구분하고, 하나의 셔틀콕엔 한 종류의 깃털만 써야합니다. <br> <br>[박종영 / 셔틀콕 제조업체 직원] <br>"털을 골라내는데 제일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." <br> <br>코르크에 구멍을 뚫고 꽂는 깃털은 모두 16개. <br> <br>바람으로 띄웠을 때 매끄럽게 돌지 못하는 건, 그 자리에서 깃털을 바로 잡아야 합니다. <br> <br>깃털이 가지런해야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고, 그래야 흔들리지 않고 정확히 날아갑니다. <br> <br>셔틀콕을 실로 묶는 작업도 중요합니다. 실의 위치에 따라 비거리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그럼, 아주 미세한 불량은 코트에서 어떻게 나타날까. <br> <br>셔틀콕은 경기장 규격인 13.4m까지 날아가도록 제작됩니다. <br> <br>정상 셔틀콕은 규정대로 정확히 비행했지만, 불량품은 제멋대로 날아갑니다. <br> <br>[이수정 / 부산외대 배드민턴팀] <br>"좀 많이 흔들리고 (거리와 방향) 조절을 할 수가 없는… " <br> <br>당연히 경기에도 영향을 미칩니다. <br> <br>구석을 찌르는 선수의 날카로운 공격에 한 포인트도 못 따냈던 대결. <br> <br>하지만 불량 셔틀콕으로 바꾸자, 선수의 미세한 실수가 나오기 시작합니다. <br> <br>[현장음(기자)] <br>"아웃 아니에요? (아웃이에요.) 아웃 맞죠!" <br> <br>[이수정 / 부산외대 배드민턴팀] <br>"안으로 들어왔을 공인데 뒤로든 옆으로든 다 생각지도 못하게 나가서… " <br> <br>ktx보다 빠른 시속 330km로 비행하는 셔틀콕. <br> <br>그 아찔한 속도 뒤엔 미세한 흔들림도 잡아내는 노력이 숨어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도형입니다. <br> <br>dodo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한일웅 이능희 <br>영상편집 : 한일웅 <br>그래픽 : 박정재 <br>취재협조 : 군포시니어클럽