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분단 73년 세월 만큼…닮은 듯 다른 ‘남북 차례상’

2018-09-23 17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북한의 추석은 어떤 모습일까요? <br> <br>'민족 최대 명절'이라 부르는 우리와 달리 북한에선 '성묘가는 날' 정도로만 인식돼 있는데요, <br> <br>분단의 세월 만큼이나 차례상의 모습에도 확연한 차이가 있습니다. <br> <br>이현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서로 닮은 듯 다른 두 차례상이 차려져 있습니다. <br><br>오른쪽이 우리, 왼쪽이 북한 차례상입니다. <br> <br>북한 차례상에서는 조상의 위패는 물론, 향과 초도 찾아볼 수 없습니다. <br><br>조상을 모시는 예법이 김일성, 김정일 부자에 이어 김정은까지 이어지는 '유일사상'에 방해가 된다고 본 겁니다. <br> <br>[안태욱 / 한국의집 관장] <br>"정치적인 이유 때문에 신위가 없어지고, 향불이 없어지고 차례를 지내거나 산소에 가서 절을 하지 않고 목례 정도만…" <br> <br>차례상에 오르는 음식에도 차이가 있습니다. <br> <br>[이현용 기자] <br>북한의 추석 차례상입니다. <br> <br>밀가루로 만든 송편과 수수팥떡이 올라와 있는데요, <br> <br>차례상을 통틀어 쌀로 만들어진 음식은 밥 한공기 뿐입니다. <br> <br>식량난 때문입니다. <br><br>과일 윗부분을 깎지 않는 것도 우리 차례상과 다른 점입니다. <br> <br>시민들은 확연히 다른 남북 차례상의 모습에 어리둥절합니다. <br> <br>[홍정혜 / 서울 마포구] <br>"같은 나라지만 지역에 따라서 나오는 생산물이 다르다 보니 차례상도 이렇게 많이 다르구나 해서 신기했어요." <br> <br>[엄영길 / 서울 동대문구] <br>"남과 북이 같이 자유롭게 왕래를 하면서 북한도 좋은 생활상으로 바꿔나가지 않겠는가…" <br> <br>긴 분단의 역사가 <br>조상을 모시는 풍습에도 '차이'를 가져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현용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채희재 <br>영상편집 : 박주연 <br>그래픽 : 안규태 <br><br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