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종인 수달이 도로에서 차에 치여 죽는 사고가 전국적으로 잇따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자체 대부분이 수달 개체 수 등 기초적인 조사를 하지 않고 있어 사실상 보호 대책 마련은 뒷전으로 밀려난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이상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짙은 어둠이 내린 도로 위로 수달이 미동도 없이 쓰러져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바로 옆 하천에 살던 수달이 도로를 건너다 차에 치여 숨진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지난 6월에도 인근 도로에서 피를 흘린 채 죽어 있는 수달이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[김혁 / 전국야생생물보호관리협회 대전·충북지부장 : 작년에 여기서 (수달) 세 마리를 발견했고, 6월과 8월에 걸쳐서 두 마리가 죽은 상태입니다. 지자체나 시에서 관리를 좀 더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. 상당히 안타깝습니다.] <br /> <br />사고를 막을 수 없었을까? <br /> <br />죽은 수달이 발견된 도로입니다. <br /> <br />차들이 빠른 속도로 달리고 있고 인근에 수달 서식지가 있음을 알리는 표지판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문화재청에 접수된 수달 폐사 건수는 지난해 80건을 넘어섰으며, 올해도 70마리 가까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중 절반 이상은 차에 치여 죽는 '로드킬' 사고를 당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하천을 관리하는 지방자치단체들이 실제로 수달이 어디에 얼마나 살고 있는지 제대로 파악조차 못 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. <br /> <br />이렇다 보니 생태복원사업을 진행해도 마땅한 수달 보호 대책이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도로 주변에 차량 불빛을 이용한 반사판이나 야생동물 감지 센서 등을 설치하는 시도가 해외에서 이뤄지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입니다. <br /> <br />[김봉균 /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 재활관리사 : 지역별로 수달이 얼마나 살고 있고 어떻게 살고 있는지 생활사를 파악하는 게 중요할 것 같거든요. 그런 선행 노력이 있기 전에 보호 대책을 강구 한다는 게 아무래도 효과적인 보호 대책을 마련하기 (어렵습니다.)] <br /> <br />보호 대책 마련이 뒷전으로 밀려나면서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종 1급인 수달의 생존이 위협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상곤[sklee1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80924001919372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