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군 조직은 어떤 조직보다도 간부의 모범과 기강을 요구하죠. <br> <br>하지만 군 간부들의 음주운전 실태만 봐도 현실은 다르다는데요, <br> <br>황수현 기자가 내막을 살펴봤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[김학용 / 자유한국당 의원 (지난해 6월)] <br>"회식을 하고 아주 늦게, 늦은 시간에. 역시 그것도 새벽입니다. 노량진 경찰서에서 걸렸습니다." <br> <br>국방장관 청문회 초반부터 음주 운전 은폐 의혹으로 집중 질타를 받았던 송영무 당시 국방장관 후보자. <br> <br>국방 최고책임자가 되기엔 부적절하다는 지적에 연신 고개를 숙여야 했습니다. <br> <br>[송영무 / 전 국방부 장관 (지난해 6월)] <br>"젊은 시절 한순간 실수를 저지른 것에 대해서 깊이 반성하고 있으며…" <br><br>하지만 군 간부들의 음주운전 실태는 여전히 심각합니다. <br> <br>자유한국당 장제원 의원실이 국방부를 통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. <br><br>최근 5년 동안 군간부와 군무원, 병사 3,249명이 음주운전으로 입건됐고 이 중, 약 73.5%에 달하는 2,389명이 군 간부였습니다.<br><br>지난 2014년, 679명에 달했던 음주운전 적발 인원은 2년 뒤, 824명으로 증가했습니다.<br> <br>안이한 처벌과 대처가 상황을 악화시켰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[김대영 / 한국국가전략연구원 연구위원] <br>"(음주운전 위험성에 대한) 사전교육과 함께 재발하게 된다면 지금보다도 더 강한 처벌이 있어야겠죠." <br> <br>지난 6월 국방부는 '혈중알코올농도 0.1%이상의 음주운전을 할 경우 정직 또는 감봉에 처한다'는 구체적 징계기준을 마련했지만, 솜방망이 처벌이란 지적은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황수현입니다. <br>soohyun87@donga.com <br>영상편집: 이승근 <br>그래픽: 서수민 <br>자료제공: 자유한국당 장제원 의원 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