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을 만난 트럼프 대통령이 부드러워 졌습니다. <br> <br>똑부러지게 말하지는 않았지만 북한이 그토록 원하는 6.25 전쟁 종전선언을 해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. <br> <br>박정훈 워싱턴 특파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지난해 유엔에서 북한을 파괴하겠다고 위협했던 트럼프 대통령. 올해는 북한 김정은 위원장을 치켜세우며 평화체제 전환을 언급했습니다. <br><br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(지난해 유엔 총회) <br>"북한을 완전히 파괴하는 것 외에 다른 선택이 없을 것입니다." <br> <br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(25일 유엔 총회)] <br>"갈등의 망령을 대담하고 새로운 평화의 추구로 대체하기 위해 북한과 대화하고 있습니다." <br><br>북한이 원하는 종전선언 가능성을 전 세계 앞에서 언급할 정도로 분위기가 달라진 겁니다. <br> <br>트럼프 대통령은 기자들과 만나서도 "알려진 것보다 비핵화 협상에 더 큰 진전이 있다"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전문가 참관 아래 미사일 기지와 영변 핵시설을 폐쇄하는 건 물론 비핵화 리스트와 핵 사찰에 대해서도 일부 의견 접근이 된 것 아니냐는 관측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대북 제재에는 단호했습니다. <br> <br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] <br>"많은 일이 남아 있기 때문에 비핵화가 일어날 때까지 제재는 그대로 유지될 것입니다." <br> <br>남북 정상이 합의한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사업 재개에 대해 사실상 반대 입장을 밝힌 겁니다. <br><br>북한의 전향적 태도로 연내 종전선언 가능성은 조금씩 열리는 분위기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대북제재는 비핵화 속도를 내는 지렛대로 쓰겠다는 뜻을 분명히 해 갈등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박정훈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이상도(VJ) <br>영상편집 김지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