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거의 한 세기 동안 북한산을 지켜온 백운산장이 국가 귀속 여부를 두고 논란의 대상이 됐습니다. <br> <br>민간인 가족이 3대째 관리해왔는데 국립공원 관리공단에선 무허가였다며 소송이 진행 중인 건데요. <br> <br>백승우 기자가 현장에 다녀왔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북한산 입구에서 걸어서 한 시간 반. 우리나라 대표 산장이 모습을 드러냅니다. <br> <br>[백승우 기자] <br>"제 옆으로 보이는 건물이 백운산장입니다. 1924년에 지어진 산장에는 이렇게 등산객들이 잠시 쉴 수 있는 공간이 있고요, 입구에는 마라톤 영웅 고 손기정 옹이 직접 쓴 현판이 걸려 있습니다. 산장 안쪽에는 간단히 요기를 할 수 있는 식당이 마련돼 있는데요, 94년의 추억이 고스란히 담긴 사진들도 곳곳에 남아 있습니다." <br><br>[신국현 / 서울 서초구] <br>"산중에 이런 건물이 있다는 건 정말 우리에게 복된 장소였다." <br> <br>그런데 요즘 백운산장이 소송에 휘말려 있습니다. 지난 1998년 재건축을 하면서 국가로 소유권을 넘기기로 했던 시한이 지난해 만료되자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소송을 제기한 겁니다. <br> <br>이에 지난 3일 별세한 산장 주인 이영구 씨의 가족들은 기부채납 시한 자체가 잘못 계산됐다며 46년을 더 점유할 수 있다고 맞서고 있습니다. <br> <br>[김금자 / 고 이영구 씨 부인] <br>"나는 이거 지키고 싶어요. (3대째) 할아버지들도 이제껏 지키셨고 나도 56년 동안 내가 이거 지켰고." <br> <br>공단 측은 이미 20년 전 기부채납하기로 합의했기 때문에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[국립공원관리공단 관계자] <br>"지금처럼 매점을 운영하고 그렇게 하면 안 되거든요. 상주하는 직원을 두면서 대피소 기능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긴 합니다." <br> <br>반면 산악인 4만여 명은 국가 귀속 대신 등록문화재로 지정해 보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논란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백승우입니다. <br> <br>strip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조세권 <br>영상편집 : 박형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