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추석연휴 마지막 날까지 바쁜 사람들이 있습니다. <br> <br>전국 도로 곳곳을 관리하는 '도로보수원'들인데요. <br> <br>시민들의 안전을 책임지지만 정작 본인들은 안전사각지대에 놓여있습니다. <br> <br>이은후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2차선 도로에서 도로보수원 공대식 씨가 홀로 제초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공 씨가 관리하는 도로구간은 왕복 50km. 도로 정화, 포트홀 보수까지 맡고 있지만 안전을 위해 차량 통제 등을 도와주는 동료는 보이질 않습니다. <br> <br>[공대식 / 도로보수원] <br>"거의 (작업) 혼자 하죠. 걱정되는데 우리 하는 일이 이거니까." <br> <br>[이은후 기자] <br>"도로보수원은 사람 한 명이 이렇게 간신히 서 있을 수 있는 곳에서 작업할 때도 있는데요 조금만 부주의해도 사고가 나기 쉽습니다." <br><br>국도와 고속도로에서 목숨을 잃는 도로보수원은 한 해 평균 10명에 이릅니다. <br> <br>이달에도 3명이 차에 치여 숨졌습니다. <br><br>2인 1조, 안전차량 배치 등 정부의 안전 매뉴얼은 있지만 강제성이 없습니다. <br> <br>[국토교통부 관계자] <br>"강제성이 있으면 지자체 고려 안하고 막 (적용) 할 수도 있는 거잖아요. (그런데) 지자체는 중앙정부 산하기관도 아니고." <br> <br>[박준호 / 도로보수원] <br>"(지자체가) 업무 매뉴얼 용역을 맡겨서 안전하게 저희가 일하게 해줬으면 좋겠고요. (안전) 교육 많이 해줬으면 좋겠습니다." <br> <br>시민들의 안전한 명절을 위해 귀경, 귀향길을 책임지는 도로보수원들은 정작 최소한의 안전도 보장받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은후입니다. <br> <br>elephant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황인석 <br>영상편집 : 변은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