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전국에 만들어진 혁신도시가 아직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수도권과 지방의 격차가 여전히 큰 상황에서, 대다수 공공기관 직원들은 지방 이주를 꺼리고 있고, 일부 지역은 여러 부작용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강원도 원주에 조성된 혁신도시입니다. <br /> <br />12개 공공기관이 수도권에서 이전한 이후 주변에 대규모 상권이 형성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속내는 고층 빌딩, 화려한 외경과는 크게 다릅니다. <br /> <br />상가 여기저기 붙어 있는 임대 현수막. <br /> <br />부동산 매매 홍보물이 건물을 도배했습니다. <br /> <br />장사를 포기한 곳이 많고 영업을 하는 곳도 폐점을 고민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주변 상인 : (선생님은 언제까지 계약이세요?) 저는 12월. (그러면 계속 영업하실 거예요?) 아뇨. 저희도 계약 기간 끝나면 접으려고….] <br /> <br />입주자 모집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혁신도시 중앙에 있는 이른바 목 좋은 상가건물이지만 수년째 텅텅 비어 있습니다. 임대료를 평당 2만 원까지 낮추거나 3년 계약 중 1년은 임대료를 받지 않겠다고 해도 입주하겠다는 사람이 없습니다. <br /> <br />가장 큰 이유는 처음 개발 당시 투기 세력이 땅값이나 상가 임대료를 크게 올려놨기 때문. <br /> <br />[원주 혁신도시 공인중개사 관계자 : 처음에는 상가 임대료가 350(만 원) 이랬거든요. 지금은 앞 라인에도 150(만 원)까지. (반값으로 떨어졌네요?) 네.] <br /> <br />여기에 공공기관 직원들의 '나홀로 이주'도 한 몫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상당수 직원이 수도권에서 출·퇴근하거나 주말이면 떠나는 상황. <br /> <br />실제 전국 혁신도시 이주 형태를 보면 '단신 이주'가 가족 동반 이주보다 훨씬 많습니다. <br /> <br />배우자 직장이나 자녀 교육 때문이 대부분인데, 이러다 보니 지방 혁신도시는 금요일 오후부터 주말까지 빈 도시가 되는 겁니다. <br /> <br />자치단체의 대응도 헛돌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공공기관 직원을 이주시키겠다며 미혼남녀를 대상으로 예산을 들여 맞선까지 주선하는 촌극을 벌였지만, 소용이 없었고 <br /> <br />이들에게 우선 공급한 아파트도 상당수 판매됐거나, 전세를 준 것으로 드러나면서 또 다른 사회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류철현 / 혁신도시아파트대표협의회장 : 공공기관 임직원이라고 가서 살라고 특혜로 분양을 줬으니까 분양가를 싸게 받았죠. 근데 시세를 보니까 시세차익이 많이 남으니까 그러니까 팔았죠. 그리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80926223309724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