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또다시 불거졌습니다. <br> <br>문재인 대통령이 재단 해산을 시사한데 이어 유엔총회 연설에서도 이 문제를 직접 언급했기 때문인데요. <br> <br>일단 양국 모두 확전은 자제하는 분위기입니다. <br> <br>김윤정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문재인 대통령이 한일 정상회담에서 위안부 화해 치유 재단 해산을 시사한데 이어, 다음 날엔 '위안부' 문제를 공개적으로 언급했습니다. <br> <br>[문재인 대통령] <br>"우리나라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를 직접 경험했습니다." <br> <br>문제가 다시 불거졌지만 한일 양국은 논란을 더 키우진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일본은 일단 관망하는 분위기입니다 <br> <br>고노 타로 일본 외무대신은 '2015 한일합의 준수'라는 원론적 입장만 밝혔고, 니시무라 관방 부장관은 한일정상회담에서 나온 위안부 문제에 대한 질문에 "상세히 소개하진 않겠다"며 말을 아꼈습니다. <br><br>다만 일본 언론은 "한일 관계의 새로운 불씨가 될 수 있다"며 파장을 경계했습니다. <br><br>우리 정부도 당장 일본 총리의 사죄 같은 추가 요구는 하지 않을 방침입니다. <br> <br>북한 비핵화 협상 국면에서 일본의 협조가 필요한 만큼 한일 갈등의 재점화를 꺼리고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김윤정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배영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