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바닷모래 채취 제한 놓고 어민-건설업계 갈등

2018-10-04 3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'환경보호냐 생계 해결이냐'를 두고 갈등하는 곳은 또 있습니다. <br> <br> 정부는 1년 가까이 바닷모래 채취를 제한했는데, <br> <br> 건설업계가 집단 반발했습니다. <br> <br>김지환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 모래로 가득 쌓여 있어야 할 레미콘 공장 야적장이 바닥을 드러냈습니다. <br> <br> 바닷모래를 더 이상 채취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. <br><br>자갈이나 돌에서 채취한 토석으로 겨우 물량을 맞추고 있지만, 공사 비용은 치솟고 있습니다. <br> <br>[레미콘 공장 관계자] <br>"파주나 여주 등 100km 이상 떨어진 원거리에서 모래를 수급하고 있습니다. 모래가격도 (㎥당) 1만 5천 원 하던 게 2만 5천 원…" <br> <br> 지난해 12월 정부는 바닷모래 채취 허가량을 줄이기로 결정했습니다. <br> <br> 어장과 해양생태계를 파괴한다는 어민과 환경단체의 주장을 받아들인 겁니다. <br><br> 이 때문에 2년 전 2800만㎥였던 바닷모래 공급량은 올해 들어 3분의 1 수준으로 뚝 떨어졌습니다. <br><br> 결국, 골재업계를 비롯한 건설업계 관계자 700여 명이 거리로 나왔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환경파괴 억지주장! 바닷모래 허가하라!" <br> <br>[고성일 / 바다골재협의회장] <br>"천연골재 (채취)를 중단시킴으로써 그 자리를 불량골재와 토사가 메우고 있습니다. 저희 8만여 일자리도 길거리로 나앉고 있습니다." <br> <br> 어민들의 피해를 우려하는 해양수산부는 여전히 채취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, 갈등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지환입니다. <br> <br>ring@donga.com <br>영상취재 김영수 <br>영상편집 이태희 <br>그래픽 전유근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