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폼페이오 장관의 평양행을 코앞에 두고 미국이 또 제재 카드를 꺼냈습니다. <br> <br>강경화 외교장관은 북한에게 핵무기 신고를 지금 압박하지 말자고 공개 제안했지요. <br> <br>미국은 부정적이었습니다. <br> <br>이어서 황하람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리용호 / 북한 외무상 (지난달 29일)] <br>"제재로 우리를 굴복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우리를 모르는 사람들의 망상에 불과…" <br> <br>종전 선언에 더해 제재 완화까지, 요구하고 있는 북한에 대해, 미국이 추가 제재 카드로 응수했습니다. <br><br>북한과 무기, 사치품을 불법 거래한, 터키의 방산 기업 시아 팰컨과 이 회사의 주요 임원들, 그리고 주 몽골 대사관의 북한 관리를 독자 제재 명단에 올린 겁니다. <br> <br>특히 터키의 대표 방산 기업인 시아 팰컨을 이용해, 북한이 제3 세계 국가들과 무기 거래를 할 가능성에 미국은 주목하고 있습니다. <br><br>[신범철 /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] <br>"(폼페이오 장관이) 북한과의 협상에 앞서서 실질적인 비핵화 조치 없이는 제재 해제를 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것으로 보입니다." <br><br>한편, 어제 강경화 장관이 북한의 핵 신고와 검증을 뒤로 미루자고 한 제안에 대해, 미국은 종전의 원칙을 재확인했습니다. <br><br>국무부는 "미국의 목표는 최종적이고 완전히 검증된 비핵화"라면서, 이를 위해 대북 압박을 지속하겠다고 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황하람입니다. <br> <br>yellowriver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이희정 <br>그래픽 : 윤지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