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오늘 국회에선 박한기 합참의장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열렸습니다. <br> <br>청문회라기보단, 남북 군사합의를 둘러싼 '공방의 장' 이었습니다. <br> <br>이민찬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자유한국당은 북한의 비핵화 의지를 두고 초반부터 공세를 퍼부었습니다. <br> <br>[김성태 / 자유한국당 원내대표] <br>"북한이 이것(핵리스트)을 제출하지 않겠다는 것은 근본적으로 핵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입장인데…" <br> <br>비핵화에 대한 확답을 받지 못한 채 군사분계선 인근 감시초소 폐쇄 등을 약속한 9·19 남북 군사합의를 비난한 겁니다. <br> <br>"평화 구축을 위한 단계"라는 박한기 후보자의 해명에도 <br> <br>[박한기 / 합참의장 후보자] <br>"신뢰 구축의 과정을 거쳐 비핵화를 견인하는 과정에 있다고." <br> <br>보수진영에선 "무장해제" "퍼주기식 합의"라고 반발했습니다. <br> <br>[서청원 / 무소속 의원] <br>"비핵화 문제는 전혀 해결되지 않았는데 군사문제에 대해 앞서가 가지고 안보공백이…" <br> <br>'NLL 계산 실수' 논란에 대해선 여야간 신경전이 벌어졌습니다. <br> <br>[이주영 / 자유한국당 의원] <br>"정보감시나 정밀타격의 전력이 무력화 됐다, 그래서 이거는 굉장히 균형을 잃은 군사합의를 한 것이다." <br> <br>[최재성 / 더불어민주당 의원] <br>"이번 합의로 우리는 여러 정찰자산 중 하나가 타협이 된 것이고, 북한은 거의 유일한 정찰자산이 무력화된 것 아닙니까?" <br> <br>자유한국당이 '특위'까지 구성해 군사합의에 대한 검증을 벼르고 있는 상황에서 논란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민찬 입니다. <br> <br>leemin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이승훈 <br>영상편집 : 김태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