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정병진 앵커, 차현주 앵커 <br />■ 출연 : 김승배 한국기상산업협회 본부장 <br /> <br /> <br />태풍 콩레이 관련해서 주요 사안 조금 더 살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태풍은 내일 새벽에 제주를 지나서 정오 무렵에 경남 해안에 상륙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한국기상산업협회 김승배 본부장과 자세한 내용 짚어보겠습니다. 어서 오십시오. 태풍이 제주 쪽은 상당히 강하게 영향권에 들어가 있는 상태고요. 전체적으로 지금 경로 자체는 당초 예상보다는 조금 더 위쪽으로 올라갔다면서요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그게 그렇게 거리 차이로는 수십 킬로미터 차이는 아니고요. 태풍의 중심, 그러니까 태풍 반경이 약 400km 되는데 그러면 전체 직경은 800km 정도 되거든요. 그러한 큰 거대한 원반이 움직이는 건데 그중에 태풍의 중심이 어디로 상륙하느냐, 이렇게 따지거든요. 당초 부산 쪽, 그러니까 남해안 쪽을 스칠 것으로, 그러니까 태풍의 중심의 크기만 해도 한 10km, 20km 되거든요. 그러니까 핀셋 꽂듯이 그런 개념은 아니고요. <br /> <br />지금 약간 올라갔다고 하는 게 그게 수십 킬로미터 올라가는 게 아니고 당초 예상했던 범위 내에서, 그러니까 육지에 걸치지 않느냐, 걸칠 것이냐가 관심이었거든요. <br /> <br />그런데 안으로 들어갔다 다시 또 바다로 나오는 이런 형태의 진행은 현재로서는 아닐 것으로 보입니다. 이게 지금 그 예측이 얼마나 어려운 일이냐 하면 북태평양 고기압이라는 가장자리를 따라 지금 가고 있고 제주도 남쪽, 조금 있으면 제주도는 태풍의 반경권에 들어갈 것으로 보입니다. 지금 바람 많이 불고 많은 비가 제주도에 내렸거든요. <br /> <br />한라산에 한 360mm. 이게 태풍의 본류는 아니고 그 태풍의 전면에 형성된 비구름대거든요. 이 시간 이후 한 두세 시간 뒤면 태풍은 완전히 태풍의 영향권으로, 제주도는 들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것들이 전체적으로 중심이 내륙에 들어가느냐 안 들어가느냐 이건 논의의 관점, 초점이 아니라고 봅니다. 다 태풍의 영향권에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렇군요. 그런데 태풍의 속도도 더 빨라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. 최근접 시각도 계속해서 바뀌고 있는 것 같은데 일단 최대 고비가 언제입니까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그렇습니다. 태풍이 발생해서 바닷물의 온도가 30도, 31도 정도 되는 따뜻한 바닷물을 지났다가 지금은 바닷물의 온도가 한 27, 28도 정도로 낮아졌거든요. 그렇게 되면 태풍의 세력은 약해지고 또 남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8_20181005222546565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