올해 노벨평화상은 분쟁 지역의 성폭력 만행을 알리고 피해자들을 돕는 데 헌신한 의사와 여성운동가가 받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남북한 정상의 수상 여부는 내년에 다시 지켜봐야겠습니다. <br /> <br />황보선 유럽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노르웨이 노벨위원회는 분쟁 지역에서 성폭력을 무기로 쓰는 광기를 끝내는 데 이바지했다며 의사인 데니스 무크웨게와 여성운동가 나디아 무라드를 올해의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[베리트 라이스 안데르센 / 노벨위원회 위원장 : 두 수상자는 이러한 (성폭력) 전쟁범죄에 관심을 끌게 하고 맞서 싸우는 데 중대한 공헌을 했습니다.] <br /> <br />프랑스에서 의학을 전공한 무크웨게는 고국 콩고의 내전 와중에 잔인한 성폭행이나 신체 훼손을 당한 여성 피해자들을 치료하고 재활을 돕는 일에 일생을 바쳤습니다. <br /> <br />2012년 9월 유엔 연설에서 국제사회의 단호한 대응과 내전 종식을 촉구했다가 끊임없는 암살 위협에 시달리면서도 진료를 멈추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[데니스 무크웨게(2013년 1월 인터뷰)/ 2018년 노벨평화상 수상자 : 제가 이곳으로 돌아온 것은 이곳 콩고에서 벌어지고 있는 성폭력과 맞서 싸우자고 결심했기 때문입니다.] <br /> <br />나디아 무라드는 2014년 8월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조직 IS에 붙잡혀 성 노예로 끌려다니다 석 달 만에 탈출해 인권운동가로 변신했습니다. <br /> <br />IS의 만행을 고발한 공로로 유럽평의회 인권상과 유럽 최고 권위의 사하로프 인권상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[나디아 무라드(2017년 1월 인터뷰) / 2018년 노벨평화상 수상자 : 팔려 다니면서 성폭행당하느니 차라리 남자들처럼 저희를 죽여주기를 바랐습니다.] <br /> <br />올해 노벨상은 지난 1일 의학상에 이어 물리학상, 화학상, 그리고 이번 평화상까지 수상자가 발표됐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 주 월요일에는 경제학상이 발표됩니다. <br /> <br />문학상은 '미투' 논란으로 69년 만에 처음으로 수상자 선정을 연기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황보선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81006004120123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