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'비핵화 기여' 잇단 수상...역대 노벨평화상 수상자 / YTN

2018-10-05 50 Dailymotion

노벨 평화상은 지난해까지 모두 98차례에 걸쳐 104명, 27개 단체가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21세기 들어서는 '비핵화' 공로를 인정받은 수상자가 잇따라 나왔고 아웅산 수지 여사처럼 평화상을 타고 나중에 논란이 빚어진 경우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역대 노벨평화상 수상자들을 이종수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 <br />[베리트 라이스 안데르센 / 노벨위원회 위원장 (지난해 10월 6일) : 올해 노벨평화상은 '핵무기 폐기 국제운동', ICAN에게 수여하기로 했습니다.] <br /> <br />지난해 노벨평화상은 북한 6차 핵실험으로 북미 사이에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'유엔 핵무기 금지협약'을 이끌어 낸 '핵무기 폐기 국제운동'에게 돌아갔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2009년에는 '핵 없는 세상'이라는 비전을 세계에 제시했다는 이유로 버락 오바마 당시 미국 대통령이 취임 9개월 만에 노벨 평화상을 받아 세계를 놀라게 했습니다. <br /> <br />2005년에도 북핵과 이란 핵의 군사적 이용 방지 공로로 국제원자력기구 IAEA와 당시 엘바라데이 사무총장이 함께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최고령 수상자도 세계적인 반핵 평화단체 '퍼그워시 회의' 창시자 영국의 조지프 로트블랫 경입니다. <br /> <br />노벨 평화상 최다 수상자는 국제적십자위원회 ICRC로 인도주의 활동으로 모두 세 차례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최연소 노벨 평화상 수상자는 파키스탄의 10대 인권운동가 말랄라 유사프자이로 2014년 당시 17살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인으로는 2000년 김대중 전 대통령이 한반도 긴장 완화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아 처음 수상했습니다. <br /> <br />평화상을 거부한 수상자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베트남 지도자 레둑토는 평화협정 체결 공로로 헨리 키신저 당시 미 국무장관과 공동 수상 했으나 베트남에 평화가 오지 않았다는 이유로 거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1991년 수상자인 아웅산 수지 미얀마 국가자문역은 최근 자국 내 소수민족 로힝야족을 상대로 한 인종청소에 책임 있다는 국제사회 거센 비난에 수상이 박탈될 위기에 처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종수[jsle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81006012433111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