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석 달 만에 다시 평양을 찾았습니다. <br /> <br />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만나 2차 북미정상회담을 조율하고 비핵화 담판을 벌이는데 귀환 보따리에 관심이 쏠립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에서 김희준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4차 평양 방문은 당일치기, 그것도 한나절 정도에 불과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면담이 일찌감치 확정된 만큼 높은 수준 담판이 이뤄질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방북의 일차 과제는 2차 북미정상회담의 조율입니다. <br /> <br />폼페이오 장관은 북미정상회담 장소와 시간의 윤곽이 드러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북미 간 비핵화 조치와 종전선언 교환에 대한 '빅딜' 여부는 최대 관전 포인트입니다. <br /> <br />동창리와 영변 핵시설 영구폐기 등 평양 공동선언 외에 북측의 진전된 비핵화 조치와 미국의 상응 조치 사이의 접점을 찾느냐입니다. <br /> <br />폼페이오 장관이 중국까지 참여하는 평화협정 가능성을 제기한 것도 주목되는 부분입니다. <br /> <br />그는 앞서 아베 일본 총리와 만나 최종적이고 완전히 검증 가능한 비핵화 원칙을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[마이크 폼페이오 / 美 국무장관 : 평양 방문에서 북한 미사일과 생화학 무기 프로그램 (포기)에 대해 우리가 완전히 일치돼 있음을 명확히 할 겁니다.] <br /> <br />폼페이오 장관의 맞상대에도 관심이 쏠립니다. <br /> <br />1차 북미정상회담까지 핫라인을 구축한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이 아닌, 북미통 리용호 외무상이 나서 북미협상에 본격 대비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. <br /> <br />협상이 순풍을 탄다면 이번 방북에 동행한 비건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이끌 오스트리아 빈에서의 북미 실무협상도 시동을 걸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대북 지렛대 부족으로 큰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회의론도 여전한 가운데 폼페이오 장관이 곧바로 우리 측에 전달할 방북 결과에 관심이 모아집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에서 YTN 김희준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81007090321496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