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된 지 오늘로 100일 째입니다. <br><br>일하는 시간이 줄며 월급도 줄어든 직장인이 적지 않다는데요. <br> <br>어느 정도인지 박수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400명 정도 근무하는 중견기업에서 디자이너로 일하는 김모 씨. <br> <br> 일주일에 한 번씩 하던 야근은 지난 7월부터 사라졌지만, 그 대신 월급이 줄었습니다. <br> <br>[김모 씨 / 직장인] <br>"시간외 근무를 하면 거기에 따르는 수당이 있어서 쏠쏠했는데 시간외 근무를 안 하게 되면서 20만원 정도 줄었어요." <br> <br> 3백명 이상 사업장에 적용되는 주 52시간 근무제는 직장인 생활에 변화를 가져왔습니다. <br><br> 실제, 근로시간 단축이 시행된 곳에서 일하는 직장인 5명 가운데 2명 정도가 야근이 줄었다고 답했습니다. <br><br> 하지만, 근무시간과 함께 줄어든 월급은 불만입니다. <br><br> 5명 가운데 1명 이상이 임금이 줄었다고 답했고, 감소한 소득은 월평균 36만 9천원이었습니다. <br><br> 주52시간 근무제를 부정적으로 느끼는 다른 이유도 있습니다. 실제로는 업무시간이 줄지 않았다거나 무보수 근로시간이 늘어났다는 것입니다. <br> <br> 근로시간 단축이 제대로 시행되려면 강력한 법적 제재와 조직 내 분위기가 조성돼야 한다는 답변도 이어졌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수유입니다. <br> <br>박수유 기자 aporia@donga.com <br>영상취재 김용우 <br>영상편집 이혜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