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한은 "가계부채 고신용·고소득·30~50대 위주로 증가" / YTN

2018-10-09 60 Dailymotion

최근 가계부채가 신용과 소득이 높은 사람 위주로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대출 구조가 상당히 개선됐다는 분석도 있지만, 가계 부채 문제의 위험성을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안윤학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신용도와 소득이 높은 사람일수록 지난 6년 새 더 많은 가계 대출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은행이 신용조회회사에서 받은 100만 명 이상의 개인별 신용정보를 분석한 결과, <br /> <br />올해 1분기 가계 대출을 받은 사람은 1~3등급의 고신용자가 전체의 57%를 차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2년과 비교해 20% 가까이 증가한 건데, 중신용과 저신용자는 그만큼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출 규모를 봐도 저신용자는 천만 원 미만 40%를 포함해 5천만 원 미만이 대다수지만, 고신용자는 2억 이상 고액대출 비중이 13%가 넘어 대조를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가계대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은행 주택담보대출도 같은 기간 고신용자에서 신규와 증액 대부분이 이뤄졌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분할상환 대출 비중과 약정 만기 30년 이상인 대출 비중도 크게 높아지면서 상환 방식과 만기 구조가 안정적으로 변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소득도 상대적으로 낮은 사람의 비중은 감소했고, 높은 사람의 비중은 높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연령별로는 경제활동이 활발한 40대가 30%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28%, 30대가 21%를 차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과거 미국의 금융위기 전 모기지 대출의 상당 부분이 저신용자에 대한 대출이고, 가계부채 고령화 현상이 나타난 것과는 대조적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저소득, 저신용자의 가계 대출 위험성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조영무 /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 : 소득 적거나 신용 등급이 낮으신 분들은 돈을 빌리기 더 어려워졌고, 최근처럼 가계 소득 증가세가 빠르지 않고 고용 상황이 위축되는 가운데서는 그런 분들이 상당히 어려움을 겪을 수 있거든요.] <br /> <br />한국은행은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 분석 시스템을 구축해, 다양한 미시 경제 분석에 활용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YTN 안윤학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1009222544782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