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평양 정상회담 때 서명한 남북 군사합의서에 여러 문제점들이 지적됐죠.<br /><br />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을 비무장화 하기로 한 합의에도 헛점이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이민찬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사내용]<br />지난해 11월 북한 병사 오청성 씨가 군사분계선을 넘자 북한 군인들이 남측을 향해 총격을 가합니다.<br /><br />무력 충돌로 이어질 뻔한 아찔한 상황이었습니다.<br /><br />남북은 이런 우발적 군사 충돌을 막기 위해 판문점 공동경비구역, JSA 비무장에 합의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JSA 내 남측 초소 4개와 북측 초소 5개를 폐쇄하고 화력장비도 모두 철수됩니다.<br /><br />그런데 무장이 가능한 북측 초소 2곳은 JSA 구역 바로 바깥에 그대로 유지됩니다.<br /><br />반면 무장한 남측 부대는 JSA와 500m 이상, 미군의 캠프 보니파스는 5km 가량 떨어져 있습니다.<br /><br />판문점에서 남북 군사력이 불균형 상태에 놓이게 되는 겁니다.<br /><br />[백승주/ 자유한국당 의원]<br />"북한군 초소에 무장해제가 동시에 진행되지 않으면 공동경비구역에 근무하는 우리 장병들의 목숨이 매우 위험한 상황에 놓여 있다."<br /><br />지난 76년 판문점 도끼만행사건도 JSA 내 남측 초소는 권총외 무기를 휴대할 수 없고 JSA 밖 북측 초소는 중화기 무장이 가능했던 점이 발단이 됐습니다.<br /><br />우리측이 무장 열세를 해결하기 위해 경계병 시야를 가리는 미루나무 가지를 제거하려다 충돌이 발생한 겁니다.<br /><br />한편 국방부는 72시간 다리 북측 초소는 비무장으로 설치되고 JSA 밖 돌아오지 않는 다리 북측 초소에 맞춰 우리 측 도보다리 초소를 같은 숫자로 유지할 계획이라고 해명했습니다.<br /><br />채널 A 뉴스 이민찬입니다. <br /><br />leemin@donga.com<br />영상취재 : 김찬우<br />영상편집 : 오영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