급등하는 집값을 잡기 위해 세금과 대출규제 등을 대폭 강화한 9·13 대책이 나온 지 한 달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일단 집값 상승세는 꺾였다는 게 시장의 대체적인 평가지만, 문제는 매매가 실종되는 이른바 '거래 절벽'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종합부동산세 인상안의 국회 처리, 금리 인상 여부가 중대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김현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재건축을 추진하고 있는 서울 잠실의 대단지 아파트입니다. <br /> <br />전용면적 76㎡의 최근 실거래가는 18억 9천여만 원! <br /> <br />하지만 매물로 나온 일부 아파트의 호가는 18억 3천여만 원으로 6천만 원 정도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보유세 인상과 대출 규제, 여기에다 3기 신도시 조성 계획 등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규제 여파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거래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시장을 지켜보자는 관망세에다 각종 돈줄을 옥죈 규제 부담까지 더해지면서 매매가 끊긴 이른바 '거래 절벽' 현상이 확산하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[박 준 / 공인중개사 : 소유자는 '언젠가는 올라가지 않겠느냐', 매수자는 '언젠가는 좀 더 내려가지 않겠느냐' 해서 일절 거래는 되지 않고 있습니다. 9·13 부동산 대책 이후로 단 한 건의 거래도 없습니다.] <br /> <br />실제로 9·13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의 하루 평균 거래량은 이전보다 10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9·13 대책 발표 바로 다음 날부터 서울과 전국 아파트 평균 매매가 상승 폭이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연말까지는 부동산 시장의 흐름을 지켜보는 관망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[김규정 / NH투자증권 부동산전문연구위원 : 가파르게 오르던 주간 단위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크게 안정되면서 거래는 중단된 상황이지만 가격 상승세는 멈추고 당분간 (부동산) 대책 효과로 눈치 보기 장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.] <br /> <br />최고세율 3.2%를 부과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종합부동산세 개정안의 국회 통과 여부와 다음 달 금리 인상 가능성, 그리고 수도권 30만 호 공급 대책 등이 앞으로 부동산 시장의 향배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로 꼽히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현우[hmwy12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1012050556038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